“중, 북 붕괴시 한국주도 통일 수용 가능성”

워싱턴-정아름 junga@rfa.org
2010.10.27
MC: 러시아 출신 북한 전문가인 안드레이 란코프 한국 국민대 초빙 교수는 앞으로 중국의 대북 지지가 점차 미약해질 것이라는 조심스런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는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단독 회견에서 중국 대북 정책의 주요 목적과 원칙으로 “첫째는 한반도의 안정 유지, 둘째로는 분단 유지, 그리고 세 번째는 비핵화 유지”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중국은 한반도의 안정과 분단을 유지하기 위해,북한의 핵무장을 묵인하고 있으며, (한반도 안정을 위해) 북한의 3대세습도 지지하고 있다”고 란코프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란코프 교수는 이에 더해 “조만간 북한 체제가 흔들리기 시작할 것”이라면서 중국이 취하게 될 대응은 중국 자신도 모를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란코프 교수는 “중국으로서는 북한 붕괴 시 중국이 북한에 ‘친중국정권’을 수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북에 개입할 수 있지만,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많으므로 북한에 개입할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습니다.

란코프 교수는 친중국 정권 수립시의 득과 실에 대해 “북한에 지하 자원이 알려진 것처럼 그리 많지 않을 뿐더러, 반대로 중국은 북한을 지지하기 위해 엄청난 (재정적, 물질적) 투자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중국이 지정학적으로 취할 전략적인 의미가 있긴 하지만, 오히려 한반도 주변 국가들의 중국에 대한 경계가 커지면서 중국이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북한 체제가 흔들리기 시작하면, 중국이 한국 주도하의 통일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러나, 이 경우) 미군이 북녘 땅에 주둔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 등을 걸 수 있다”고 란코프 교수는 분석했습니다.

한편, 란코프 교수는 “미국은 더 이상 대북 포용 정책에 대한 흥미가 없다”고 주장하면서 미국은 현재 북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상태”라고 강조했습니다.

란코프 교수는 구소련의 레닌그라드 국립대를 거쳐 1980년대 김일성종합대에서 조선어문학과을 공부한 뒤 '북한현대정치사', '스탈린에서 김일성으로' 등 여러 북한 관련 저서를 펴낸 북한 전문가입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