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

워싱턴-이진서 leej@rfa.org
2013.08.15
music_perform 베를린 브린덴부르크 광장에서의 공연.
RFA PHOTO/ 이진서

6.25 정전 60주년 RFA 기획특집 과거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들이 민주주의를 선택한 이후 어떠한 삶의 변화를 경험했는지 남북한 청년들과 함께 떠나는 통일연습.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이제는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 편입니다. 진행에는 이진서 기자입니다.

동과 서로 나뉘었다가 1990년 하나가 된 도이췰란드 (독일). 끊임없는 외세의 침략에 시달려야 했고 제 2차 세계대전에 당시 점령군인 나치 독일에 의해 수백만이 참혹하게 죽어간 유태인 수용소가 있는 나라 뽈스카(폴란드). 거리의 작은 골목길에서도 음악이 흘러 나왔던 체코.

10박 11일 동안 이 세 나라를 돌면서 볼 수 있었던 광경은 끝없이 펼쳐진 초록의 평야. 고딕양식의 웅장한 교회와 화려한 건축물들 그리고 동유럽을 방문한 세계 여러 나라의 관광객들

지금의 모습은 너무나도 평화롭지만 이런 세상을 만들기 까지는 누군가의 희생이 있었습니다. 1989년 체코 민주화 운동을 이끌던 당시 청년 지도자 사이먼 씨입니다.

베를린 장벽(위)과 베를린 찰리 체크 포인트. RFA PHOTO/ 이진서
베를린 장벽(위)과 베를린 찰리 체크 포인트. RFA PHOTO/ 이진서

사이먼: 뭐가 첫 번째 동기가 됐냐고요? 나는 자유롭고 싶었어요. 인생이 전부 거짓 투성이었어요. 정부도 국민에게 거짓말을 하고 학교 선생님도 학생에게 거짓말 하고 심지어 부모들도 사실대로 말하지 않았어요. 아이가 학교에서 괜한 말을 해서 경찰이 찾아오게 되는 것을 두려워한 거죠. 저는 그저 진실과 자유를 원했던 거예요.

산 사람들의 증언은 사선을 넘어 탈북한 우리 북한 출신 젊은이들에겐 너무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강 디모데 씨입니다.

강 디모데: 17세 때 북한에서 감옥생활을 했었거든요. 그래서 한국에 나와서도 유태인에 대한 나치 수용소 관련된 영화를 많이 봤어요. 보면서 너무 힘들어서 계속 보지 못하고 많이 울었는데 실제 와서 보니까 사진을 찍으면서 뒤에서 많이 울었던 것 같습니다.

체코에서는 자유로움을 노래하는 사람들이 지하에 숨어서 반정부 음악활동을 하며 라디오를 통해 자유의 소리를 전파했습니다.

(실제 체코 지하 음악가들의 연주 실황)

탈북청년 9명, 남한 젊은이 15명 이들은 2인 1조가 되어 같은 방을 쓰면서 여행을 합니다. 올해 29세의 남한학생 이명진 씨입니다.

이명진: 공동체로 여행 하고 있는데 우리가 하나가 되고 있다는 것을 보게 되는 것이 너무 좋고 감사한 것 같습니다. 북한청년 남한청년 이렇게 나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금 하나고 우리 안에 작은 통일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보게 되면서 어제 저녁에 많은 얘기들이 오고 갔는데 솔직히 저는 어린 친구들이 아무 생각 없이 참여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반신반의 했는데 깜짝 놀랐어요.

명진 씨는 이번 여행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자유라는 단어라고 하는 데요

이명진: 민주화 과정을 들었을 때도 그냥 이뤄진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헌신이 있었다는 점. 자유를 갈망하는 마음이 목숨을 걸면서 까지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것이다란 것을 알았습니다. 나에겐 자유가 주어져 있어 잘 몰랐는데 자유가 없었던 사람들에게 자유라는 것은 너무 큰 가치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탈북청년 조경덕 씨는 남한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습니다. 경덕 씨는 좀 걱정스런 표정인데요.

조경덕: 북한은 다른 세상과 정보의 교류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동독의 경우는 그래도 서독 사람과 교류가 있었기 때문에 분명 자유가 좋다는 것을 알았고 북한 사람들은 자유를 모르기 때문에 자유를 찾아야 하는 이유를 모르는 것 같습니다. 자유가 뭔지를 알아야지 모르면 찾을 수가 없어요. 저는 그것이 큰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23년 전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된 도이췰란드는 아직도 통일세금을 국민이 나눠서 내고 있습니다. 여행 안내원의 설명입니다.

안내인: 적자의 균형을 맞춰주는 제도인데요. 예전 서독에 속했던 주에서 주로 돈을 내놓는데 돈을 가장 많이 받아가는 주가 베를린입니다. 돈 먹는 하마죠. 베를린이 어마 어마한 돈을 가져가는 데 계속해서 돈을 쏟아 부어야 하는 실정입니다.

일부에서는 도이췰란드 통일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고 우연히 맞은 것이다 라고 말들 합니다. 하지만 우연이란 현지를 방문해 보면 생각이 달라집니다. 기독교북한선교회 이수봉 목사입니다.

이수봉: 통일이 준비 안 되고 갑자기 왔다는 얘기는 서독사람들의 시각에서 한 얘기고 동독사람들 시각은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시위를 했던 사람들의 얘기뿐만 아니라 뮐러 씨 고백을 보면 자기들이 얼마나 열심히 노력했는지 또 동독의 체제 문제점에 대해 얼마나 열심히 항거했는지 보여주잖아요?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앞 광장에서의 아리랑 노래)

남북한 젊은이들이 도이췬란드의 수도 베를린에서 한반도 분단 상황을 알리고 통일을 염원하는 작은 공연을 시작합니다. 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하는 남한청년 고우리 씨입니다.

고우리: 처음에는 그냥 참여하는 데 의미를 두려고 노래를 선뜻 해준다고 했는데 한인 할머니들이랑 할아버지를 보면서 아리랑을 부르는 것이 뜻 깊었고 가슴이 뭉클 했습니다.

도이췰란드 통일을 상징하는 브란덴부르크 문에는 입소문을 듣고 참석한 한인 동포들도 10여명이 넘게 보입니다. 이들은 70년대 초 간호사나 광부로 이민생활을 시작해 40여년 넘게 타국 생활을 하면서도 조국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교민 운정자 씨입니다.

운정자: 통일이 되면 좋죠. 그런데 쉽지는 않고 독일 통일과 한국 통일은 차원이 다른 것 같아요. 서독이 경제가 발전에 통일이 됐는데 글쎄 남한의 햇볕정책만 가지고는 힘들 것 같아요.

계속 이어지는 우리 남북한 젊은이들의 공연 이번에는 집단무용인데요 진행을 맡은 윤성종 목사입니다.

윤성종: 여기서 우리가 통일의 염원을 담은 그런 춤을 추려고 합니다. 그 춤 안에 통일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가득 담고 사람들에게 우리의 마음을 보일 수 있도록 춤을 추려고 합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남한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젠틀멘이란 음악에 맞춰 춤을 춥니다. 남한청년 박효민 씨입니다.

박효민: 어차피 해야 할 것 즐기자는 마음으로 했고 처음에는 우리를 구경만 하던 사람들이었는데 단 몇 명이라도 우리와 함께 춤을 추고 또 그들에게 설명할 수 있었다는 것 자체가 정말 자랑스럽고 짧은 시간이지만 우리가 조금이라도 통일을 위해 뭔가를 했다는 사실이 정말 뿌듯합니다.

(학생들이 통일을 여행자들에게 설명하고 현장음)

춤을 추고 노래를 하니 외국인들도 모여들기 시작했고 이들에게 한반도 통일을 설명하고 서명을 받습니다. 현지인 안드레아 씨입니다.

안드레아: 좋은 생각인거 같아요. 언젠가는 남한과 북한이 통일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잘하고 있는 거 같아요.

독일 통일 당시 상황과 그런 일이 한반도에서도 이뤄질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안드레아: 그때 베를린에 살지 않고 독일 북부에 있었는데요. 통일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어요. 하지만 한국은 같은 언어를 쓰고 있으니까 쉽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통일을 못할 거라고도 말할 수 없겠죠.

주위에 모인 사람들이 하나가 돼서 춤을 추고 흥겨워하면서 날은 저물어 갑니다. 탈북한의사 김지은 씨입니다.

김지은: 너무 감동이었어요. 많은 사람들에게 통일의 필요성을 말했고요. 오늘 여기 왔던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도 한반도 통일에 대해 마음을 합쳐 줬으면 좋게 다는 생각이 들고 또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를 부를 때는 정말 통일이 된 것 같은 생각이 마음이 울적했고요.

도이췰란드 통일과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 운동 자유와 진실을 원했던 사람들에 의해 시위는 대규모 집회로 변했고 세상은 바뀌었습니다. 서울신학대학교 박영환 교수입니다.

박영환: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의 마음은 첫째 이번 기회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주는 것이 먼저다. 두 번째는 북쪽에서 오신 우리 민족은 열등의식을 갖지 말고 담대하게 남쪽 사람과 똑같다는 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한 숙제고, 세 번째는 성품인데 남한 사회에 적응하려는 노력하는 정신과 의식, 행동, 성실함이 있어야 탈북민들은 남한사회에 자릴 잡아갈 수 있다고 봅니다. 그렇게 될 때 통일을 위한 연습이 완성되지 않나 이렇게 생각됩니다.

6.25 정전 60주년 RFA 기획특집 남북한 청년들과 함께 하는 통일연습 제작 진행에 이진서 기자였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