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에서 다른 한반도 산맥이름

워싱턴-이현기 leeh@rfa.org
2016.12.02
baekdoo_line-620.jpg 한반도의 근골을 이루는 백두대간 영동산간 지역에 하얀 눈과 구름이 덮여 신비롭게 보인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돼 동쪽 해안선을 끼고 남쪽으로 흐르다가 태백산 부근에서 서쪽으로 기울어 남쪽 내륙의 지리산에 이르는 우리나라 땅의 근골을 이루는 거대한 산줄기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통일문화산책 진행에 이현기입니다.

우리 조상들이 남겨준 전통문화가 광복 이후 남과 북으로 나뉘어져 지금도 생성돼 오는 서울문화 평양문화의 단면들을 살펴봅니다.

TEASER: 상공에서 보는 저 힘찬 산줄기를 보면 산은 절대로 물을 건너지 않고 물은 산을 넘지 못합니다. 산은 하나의 근본에서 만 갈래로 나눠지고 물은 만 갈래가 하나로 합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하나의 같은 이름으로 있던 저 산줄기들이 남북한에서 이름도 다르게 쓰입니다.

이제 12월, 겨울도 깊어가고 2016년도 저물어 갑니다. 겨울이 깊으면 봄도 멀지 않고 한 해가 저물면 새해가 또 시작되는 것이지요.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아름다운 한반도 강산을 생각하게 합니다. 한국의 유명한 여가수가 부른 ‘아름다운 강산’ 제목의 노래 가사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늘은 파랗게 구름은 하얗게 실바람도 불어와 부풀은 내 마음

나뭇잎 푸르게 강물도 푸르게 아름다운 이곳에 내가 있고 네가 있네

손잡고 가보자 달려보자…..참 아름다운 가사입니다.

비행기로 한반도 상공에서 광대무변한 우주의 한 자락을 차지하는 이 땅에 솟은 산줄기와 강줄기를 내려다 보면서 한반도 산줄기에 대해 북한문화평론가 임채욱 선생과 함께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휴전선이 있다지만 산줄기는 남북으로 이어졌는데 사람은 쉽게 오고 가지 못합니다. 그런데 저 산줄기 이름조차 남북한에서는 다르다고 하지요?

임채욱 선생: 네. 상공에서 보는 저 힘찬 산줄기를 보면 산은 절대로 물을 건너지 않고 물은 산을 넘지 못합니다. 산은 하나의 근본에서 만 갈래로 나눠지고 물은 만 갈래가 하나로 합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하나의 같은 이름으로 있던 저 산줄기들이 오늘날 남북한에서 이름도 다르게 쓰입니다. 우선 남쪽에서는 산줄기를 산맥이나 산줄기로 부르는데 북쪽에서는 산줄기라고만 부릅니다. 그래서 황해도 가운데서 서남쪽으로 가르는 산봉우리들의 연결모양을 남쪽에서는 멸악산맥이라 하고, 북쪽에서는 멸악 산줄기라고 합니다.

또 다른 예들도 좀 들어주시지요.

임채욱 선생: 황해도와 평안남도를 경계 짓는 언진산맥이 북한에선 언진산 줄기가 됩니다. 우리 땅 한반도의 등줄기를 이루는 남쪽의 태백산맥이 북쪽에선 태백산줄기로 달라집니다. 이름뿐이 아니라 산줄기 내용도 조금 다르게도 됩니다. 산줄기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로 새로운 사실을 찾아내서 그런 것이지요. 태백산맥은 남쪽에서는 안변 황룡산에서 부산 다대포에 이르는 500km 산줄기로 보는데 북쪽에서는 태백산까지로 밖에 보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산줄기 이름을 일본학자가 붙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임채욱 선생: 네. 사실입니다. 우리나라 산줄기 이름들인 마천령산맥, 낭림산맥, 함경산맥, 태백산맥, 소백산맥 등 14개 산맥 명칭은 일본학자 고또분지로(小藤文次郞)가 붙인 이름입니다. 이 고또란 사람은 독일 베를린대학에서 공부한 지질학자인데 우리나라가 대한제국 시기인 1900년에 오고 1902년에 또 와서 도합 14개월 동안 우리나라 지질구조를 조사하고 1903년 <한반도의 지질구조도>라는 논문을 발표합니다. 이때 산맥이름도 붙이는데 그 뒤 1904년 야쓰쇼에이(矢洋昌永)라는 지리학자가 여기에 바탕을 두고 산맥지형도를 완성시켰다고 합니다. 대한제국 학부는 1908년 이것을 받아들여 교과서에 우리나라 산맥이름들을 바꾼 것이지요.

지금 바꿨다고 했는데요? 그럼 일본학자들이 산맥지도를 그리고 이름을 붙이기 전에도 우리나라 고유의 산맥지도와 이름이 있었다는 것입니까?

임채욱 선생: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대간(大幹)과 정간(正幹), 그리고 정맥(正脈)이란 이름의 산맥 개념이 있었습니다. 산경표(山經表)라는 책에 나오는 것인데 <산경표>는 우리나라 산을 중심으로 산줄기의 체계를 정리한 책입니다. 지은이는 18세기 학자 신경준입니다. 신경준은 우리나라 산맥을 1대 간, 1정 간, 13개 정맥으로 분류했습니다.

1대 간, 1정 간, 13정맥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지요.

임채욱 선생: 1대 간은 백두대간입니다. 백두산부터 함경남도 단천의 황초령, 평안북도 영원의 낭림산, 함경남도 안변의 분수령, 강원도 회양의 철령, 금강산, 강릉 오대산, 삼척 태백산,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대동맥이 되는 산맥이지요. 백두대간에는 마천령산맥, 함경산맥, 낭림산맥, 태백산맥, 소백산맥을 포괄합니다. 다음으로 1정 간은 장백정간입니다. 장백정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해서 함경북도 경성, 회령, 경흥의 여러 산을 지나 서수라 곶산까지 함경도를 동서로 관통하는 산맥인데 함경산맥 동북부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13개 정맥인데 그 이름들은 청북정맥, 청남정맥, 해서정맥, 임진북예성남정맥, 한북정맥, 낙동정맥, 한남정맥, 금북정맥, 한남금북정맥, 금남정맥, 호남정맥, 금남호남정맥, 낙남정맥입니다.

이들 산맥들의 체계랄까, 특징은 어떻게 나타납니까?

임채욱 선생: 물줄기를 기준으로 나눠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령 청북정맥이나 청남정맥은 이름 그대로 청천강을 기준으로 하고 있고 청남정맥과 해서정맥은 대동강을 기준하고 한북정맥과 한남정맥은 한강을 기준으로 하고 금북정맥과 금남정맥은 금강을 기준으로 하고 호남정맥은 영산강과 섬진강을 기준으로 나눠진 것이지요. 그리고 이름에서 대간과 정간 그리고 정맥들로 이름을 다르게 불러 산맥이라도 크기가 다르고 중요성이 다르다는 위계를 나타내려고 한 것입니다. 또 산과 산의 분포와 위치를 줄기 또는 맥으로 파악해서 끊어짐이 없이 이어지는 개념으로 파악했지요. 이 점이 일본학자들이 정하고 이름을 붙인 산맥들과 다른 점입니다. 일본학자들이 붙인 산맥들, 14개 산맥들이 연속적이지 않고 단절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상의 산을 연결한 산줄기가 아니라 지질구조를 중심으로 산을 연결했기 때문이지요.

남북한에서는 <산경표>에 나타난 산맥들 지도는 쓰지 않습니까?

임채욱 선생: 산경표에 나오는 산맥지도를 산경도라 하고 일본학자들이 그린 산맥지도를 산맥도라 할 때 남북한 어디에도 산경도를 그대로 쓰지는 않습니다. 북한은 기본적으로는 일본학자 산맥도를 사용하다가 1996년 1월부터 나름대로 산맥도를 새로 그리고 있습니다. 현재 북한지역에서만 30개 가까운 산맥명칭을 내세우는데 국토의 등뼈를 백두산줄기라고 부르면서 백두대간 흐름과 비슷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일본학자들의 산맥도 14개 보다 많은 48개를 쓰고 있습니다. 국토연구원에서 연구한 결과 가장 높고 긴 1차 산맥이 1개, 여기서 뻗어나간 2차산맥이 20개, 또 여기서 뻗어나간 3차산맥이 24개 그리고 독립산맥 3개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런 산맥도는 산경도와 크게 다릅니까, 그럼 보다 정확한 것을 사용해 야 하지 않을까요?

임채욱 선생: 대체로 이렇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산맥도와 산경도 차이를 두고 어느 것이 맞고 어느 것이 틀렸다고 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분명히 물은 산을 넘지 못하는데 산맥도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지요. 이것은 산맥도가 X-레이로 몸 속 뼈를 보는 것이라고 보면 이해가 된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산경도는 겉으로 드러난 것만을 그렸기 때문에 몸 속 뼈와는 다르다는 것이지요.

현실적으로는 산맥도 상의 태백산맥 보다 산경도 상의 백두대간을 더 선호하고 있다고 하지요?

임채욱 선생: 네. 1990년대가 되면 한국에서는 백두대간을 찾자는 정신상의 운동이 세차게 벌어집니다. 그래서 백두대간을 실제로 종주하는가 하면 백두대간에 대한 문헌연구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요. 무엇보다 한국에서는 파악하는 산맥 숫자와 북한에서 파악하는 산줄기 수가 다르기도 하고 이름도 각각인데 이런 부분은 앞으로 남북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풀어야 할 문제입니다.

통일문화산책 함께 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기획과 진행에 RFA 이현기입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