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WFP “지난해 북 주민 1천 만명 식량난 겪어”

워싱턴-김소영 kimso@rfa.org
2018.04.11
carrying_food_b 북한의 한 남성이 식량을 실은 자전거를 끌고 가고 있다.
ASSOCIATED PRESS

앵커: 지난해 북한 전체 주민의 절반에 가까운 1천여 만명이 식량 위기에 처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부로부터의 식량 지원이 절실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2017년 북한 주민 10명 중 4명은 식량난에 허덕였습니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이 최근 공동 발표한 '2018세계 식량위기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전체 주민의 41%에 해당하는 1천 50만 명이 지난해 기근에 시달렸습니다.

이 수치는 FAO와 WFP가 정의하는 식량 부족 단계에서 식량 부족이 ‘걱정할 수준 (worrying level)’인 2단계 이상을 합친 것으로 2016년보다 50만명 더 늘어난 것입니다.

보고서는 '식량위기단계(food insecurity level)’를 정도에 따라 가장 심각한 5단계부터 가장 양호한 1단계로 나누고 있습니다.

다만 올해 보고서는 지난해 북한 식량난에 대한 정확한 통계 부족으로 ‘걱정스러운 단계(worrying level)’ 이상으로만 식량난에 처한 북한 인구를 추산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식량 부족의 위기(Crisis) 상태인 ‘식량위기단계’의 3단계 이상이 440만명,  2단계에 해당되는 북한 주민이 560만명으로 총 1천만 명이 식량 부족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보고서는 이미 식량난이 만연한 북한이 심각한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로 식량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주민들의 식생활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북한은 ‘외부식량 원조가 필요한 위기국(Countries in Crisis requiring external assistance)’으로 분류된 37개국에 포함됐습니다. 대부분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들이었고 파키스탄과 함께 아시아 국가로는 북한이 유일합니다.

FAO가  지난 3월 발표한 북한 식량 생산량 보고서에 따르면 올 한해 북한 당국이 수입하거나 인도주의 국제지원으로 메워야 할 식량 부족량이 약 46만 톤에 달합니다.

한편 앞서 WFP는 북한의 식량난과 주민들의 영양 상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올해 초부터 북한 통계국과 공동으로 전수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