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등 24개 유엔 회원국들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계속해서 북한 인권 상황을 의제로 다룰 것을 촉구했습니다. 독일의 크리스토프 호이스겐(Christoph Heusgen)...
2021-03-02
한국에서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지 5년이 지났지만 문재인 정권에서 사문화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2021-03-01
북한 당국이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국제 우편물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일본 등지의 북한 귀국자 가족들이 1년 이상 혈육의 생사를 몰라 안타까워...
2021-02-26
북한 주민들이 처한 인도주의적 위기는 대북제재 때문이 아니라 주민들에게 돌아가야 할 국가 재원을 무기 개발이나 사치품에 전용하는 북한의 약탈...
2021-02-25
오는 3월 한국에서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지 5주년을 맞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북한인권법을 정상적으로 이행할 의지가...
2021-02-25
한국계 영 김(Young Kim) 미국 연방 하원의원이 북한의 인권 침해 현실은 한미 양국의 핵심 가치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며...
2021-02-25
미북 이산가족 상봉 법안이 최근 미국 하원에서 재발의된 데 대해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영상 상봉이라도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2021-02-25
미북 비핵화 대화가 진전되지 않으면 미국이 북한에 인권 문제를 제기해 새로운 의제로 삼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습니다.
2021-02-24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최근 귀순한 북한 남성이 한국군 초소에 들어가면 북송될 것이라고 생각해 민가로 가려고 했다는 것은 한국...
2021-02-24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반인도적범죄에 해당하는 대규모 강제노동을 바탕으로 한 광물 생산과 수출이 북한의 군사무기개발 자금과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