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전히 북한 붕괴 원치 않아”
워싱턴-양성원 yangs@rfa.org
2010.12.02
2010.12.02
MC: 중국이 북한의 연이은 도발행위에 좌절하고 있으며 한국 주도의 한반도 통일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미국 내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은 여전히 북한의 붕괴를 원치 않고 있으며 북한에 대한 중국의 우호적인 태도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중국 전문가인 딘 챙(Dean Cheng) 연구원은 중국은 무엇보다도 한반도 안정을 원하고 있다면서 여기서 중국이 말하는 한반도 안정이란 한반도에 아무런 변화도 없는 것, 즉 현재의 남북 분단 상태가 지속되고 북한 정권이 유지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북한이 도발의 수위를 점점 높이는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주변국들이 북한에 대해 아무런 압력도 가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는 것입니다.
Cheng: Everytime the North Koreans misbehave, and lately they become much more brazen and much more aggressive, China tells everyone else not to do anything.
챙 연구원은 최근 일각에서 중국이 북한의 연이은 도발행위에 이젠 질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지만 연평도 포격에도 북한을 비난하지 않고 대북지원을 지속하는 등 실제 중국이 취하는 행동을 보면 중국이 북한과 거리를 둔다는 증거를 찾기가 힘들다고 설명했습니다.
챙 연구원은 또 북한이 붕괴했을 때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과 관련해서도 그런 전망의 근거가 매우 약하다면서 중국은 한미 두 나라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논의를 꺼리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평화연구소(USIP)의 존 박 선임연구원도 중국이 한국 주도의 한반도 통일을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해 중국은 기본적으로 남북한 두 나라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을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의 기본 입장은 평화적인 방법에 의한, 또 점진적인 한반도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Park: China is supportive of reunification. They would like to see it happen under certain conditions. Number one is peaceful, the second is that it's done in a manner that is gradual.
앞서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최근 공개된 미국 국무부의 외교전문 내용을 인용해 중국이 북한의 연이은 도발 행위에 염증을 느끼고 있으며 한국 주도의 통일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기획실장은 외교전문에 나온 관리들의 말은 특정 시기와 연관된 개인적인 견해일 수 있다면서 중국이 대북 경제지원과 에너지 지원 그리고 인도적 식량지원을 중단하는 정책을 실제로 이행하지 않는 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외교전문 내용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홍콩에서 발간되는 일간지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1일 중국 본토의 군사외교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이 북한을 포기하는 것은 물론 북한에 대해 실질적인 압력을 행사할 가능성은 거의 전무하다고 전했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중국 전문가인 딘 챙(Dean Cheng) 연구원은 중국은 무엇보다도 한반도 안정을 원하고 있다면서 여기서 중국이 말하는 한반도 안정이란 한반도에 아무런 변화도 없는 것, 즉 현재의 남북 분단 상태가 지속되고 북한 정권이 유지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북한이 도발의 수위를 점점 높이는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주변국들이 북한에 대해 아무런 압력도 가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는 것입니다.
Cheng: Everytime the North Koreans misbehave, and lately they become much more brazen and much more aggressive, China tells everyone else not to do anything.
챙 연구원은 최근 일각에서 중국이 북한의 연이은 도발행위에 이젠 질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지만 연평도 포격에도 북한을 비난하지 않고 대북지원을 지속하는 등 실제 중국이 취하는 행동을 보면 중국이 북한과 거리를 둔다는 증거를 찾기가 힘들다고 설명했습니다.
챙 연구원은 또 북한이 붕괴했을 때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과 관련해서도 그런 전망의 근거가 매우 약하다면서 중국은 한미 두 나라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논의를 꺼리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평화연구소(USIP)의 존 박 선임연구원도 중국이 한국 주도의 한반도 통일을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해 중국은 기본적으로 남북한 두 나라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을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의 기본 입장은 평화적인 방법에 의한, 또 점진적인 한반도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Park: China is supportive of reunification. They would like to see it happen under certain conditions. Number one is peaceful, the second is that it's done in a manner that is gradual.
앞서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최근 공개된 미국 국무부의 외교전문 내용을 인용해 중국이 북한의 연이은 도발 행위에 염증을 느끼고 있으며 한국 주도의 통일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기획실장은 외교전문에 나온 관리들의 말은 특정 시기와 연관된 개인적인 견해일 수 있다면서 중국이 대북 경제지원과 에너지 지원 그리고 인도적 식량지원을 중단하는 정책을 실제로 이행하지 않는 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외교전문 내용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홍콩에서 발간되는 일간지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1일 중국 본토의 군사외교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이 북한을 포기하는 것은 물론 북한에 대해 실질적인 압력을 행사할 가능성은 거의 전무하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