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자회담 재개 힘들 듯
2012.06.26
앵커: 한국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올해 북핵 6자회담이 재개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같은 발언은 러시아 6자회담 차석대표가 서울을 찾아 북핵 문제 대응 방안에 대한 협의를 가진 가운데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6일 서울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러시아측 6자회담 차석대표인 그리고리 로그비노프 북핵담당 대사를 만나 북핵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외교통상부 조병제 대변인은 이번 협의가 “6자회담 관련국 간의 정례적인 접촉의 일환으로 이뤄졌다”면서 “특별한 의제를 상정했다기보다는 양측 간에 그간의 진전 상황을 평가하는 자리”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회담 직후 외교통상부의 한 당국자는 “북한의 로켓 발사로 2.29 합의가 무산된 뒤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한 논의는 정체된 상태”라면서 “한국과 미국의 대선 등 6자회담국의 정치 일정을 볼 때 올해 6자회담이 재개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2.29 합의는 북한이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을 중단하고 미국은 북한에 식량을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았지만, 북한이 4월 13일 장거리 미사일을 쏘면서 무산된 바 있습니다.
외교통상부 조병제 대변인은 6자회담의 재개를 위해서는 북측이 비핵화를 위한 선행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26일 말했습니다.
조병제: 6자회담이 현재 정체되고 있는 상태에 대해서 만족스럽게 생각하지 못하고 있고, 우리들이 늘 촉구를 해 오고 있습니다만, 북한 측이 비핵화에 관한 진정성 있는 조치를 조속히 취하고, 그렇게 함으로 해서 대화에 의한 핵 문제 해결 과정이 제기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하루 전 서울에서 열린 남북 경협 관련 학술회의에 참석한 김천식 통일부 차관도 북한이 도발과 핵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차관은 “한국 정부는 북한의 낙후된 경제를 발전시키고 동포애 관점에서 인도적 지원은 계속하고자 한다”면서 “북한도 경협에 근본적인 장애가 되는 핵문제를 빨리 풀고 상생 공영의 길로 나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2003년에 시작된 6자회담은 2년여 만인 2005년 9.19 공동성명에 이어 2007년에는 2.13과 10.3 후속 합의를 채택했고, 일부 플루토늄 시설을 불능화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신고와 검증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2008년 12월을 마지막으로 6자회담은 중단됐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를 이행하는 등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을 보일 경우, 관련국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6자회담을 재개해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북핵문제의 해결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