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최근 유엔 세계식량계획에 인도주의적 구호지원을 개발지원으로 변환해 줄 것으로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세계식량계획(WFP) 베이징 사무소의 제럴드 버크(Gerald Bourke) 대변인은 그러나 북한 당국은 세계식량계획의 북한 내 인도주의적 구호활동을 중단하라거나 세계식량계획 평양사무소 폐쇄하라는 요구는 하지 않았다고 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버크 대변인은 지난달 말 북한 당국이 국내 식량 생산량이 계속 증가해 왔으며, 10년 이상 외부 긴급구호를 받아 식량 위기 상황도 호전됐다는 이유를 들며 이제는 개발 쪽으로 한 단계 나아갈 때가 됐다고 말했다고 버크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Bourke: It said reason it is asking that is because the domestic food production has been increasing, the humanitarian crisis has eased.
버크 대변인은 세계식량계획은 북한의 식량 위기가 다소 호전됐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아직은 긴급 식량 지원은 계속돼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의 식량 생산량은 국내 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엔 많이 부족하다면서 올해만도 90만 톤의 식량이 모자란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북한 어린이의 37%가 여전히 만성적 영양 부족을 겪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버크 대변인은 북한 당국이 세계식량계획 평양사무소의 폐쇄를 요구했다는 일부 언론보도는 잘못된 것이라며, 그같은 요구는 없었으며 세계식량계획은 북한내 식량지원 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ourke: The N. Korean government has not asked to close WFP down its operation, that is not correct.
한편, 북한 당국이 식량지원에서 개발지원으로의 바꿔달라고 요구하는 배경에 대해 세계식량계획의 앤토니 밴버리(Anthony Banbury) 아시아 국장은 북한 당국이 세계식량계획의 분배 감시가 증가되면서 북한측이 이를 부담으로 여기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에 밝혔습니다.
이진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