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6자회담 대표 방북 의사 전달” - 남 관리
2005.09.22
6자회담의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핵문제를 직접 협의하고 싶다는 의사를 남한 관리를 통해 북한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동영 남한 통일부 장관은 22일 국회에 출석해 지난주 남북장관급 회담 참석 차 북한을 방문했을 때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의 방북 의사를 북한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힐 차관보의 북한 방문이 이뤄진다면 이번 6자회담의 성과를 더욱 공고히 해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남한 조선일보도 남한 정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힐 차관보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핵 문제를 직접 협의하는 것에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방북 시기는 오는 11월초 차기 6자회담 이전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보도에 대해 미 국무부와 주한미국 대사관 측은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고 AP통신이 전했습니다. 이 통신은 미국은 그동안 북한과의 일대일 직접 대화를 계속 거부해왔다며 남한 외교통상부 측은 차기 회담 전 6자회담 참가국들이 여러 가지 접촉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는 21일 미 공영 NPR 방송에 출연해 지난 94년 제네바 핵합의와는 달리 이번 6자회담 합의사항은 미국 뿐 아니라 모든 회담 참가국과 합의한 것이라는 점에서 북한이 파기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hris Hill: I think it is a little more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ignore us all.
그는 또 이번 합의는 북한의 핵동결이 아닌 핵 폐기를 약속했다는 점에서 지난 제네바 핵합의와는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양성원기자
관련 정보
- 미, 북한 경수로 요구 일축
- 힐 차관보 6자회담 현안 검토차 서울 경유
- 북한 핵에너지 필요 없어: 크리스 힐
- “북, 평화적 핵 이용 권리 당연” - 남 통일 장관
- 힐 미 국무부 차관보, “북한의 민수용 핵계획 수용할 수 없어”
- “미, 북핵 포기시 북과 연락사무소 개설 가능” - 일 언론
- 힐 차관보, “북한 인권문제에 침묵할 수 없어”
- “중국, 북한 복귀 못시키면 6자회담 파국 맞을 수도” - 힐 차관보 경고
- 북한이 6자회담 복귀토록 양보할 계획 없다, 크리스토퍼 힐
- 힐 대사, 북한 브로커 통해 리비아에 핵 물질 수출
- 6자회담 교착국면, 언제까지 지속될 수 없다- 힐 지명자
- 힐 대사: 핵무기 제조 북한에 도움 안 돼
- 미 국무부 “국가 차원서 북한 마약 밀매 가능성”
- 6자회담 조기 재개 노력 가시화
- 힐 주한 미국 대사, 북한 미래 6자회담에 달려있다
- 힐 대사, “북한 핵 추구 막다른 골목 밖에 없다”
- 미, 6자회담 재개 위해 북에 양보 불가
- “북 회담 참가 기다리는데 한계 있어” - 주한 미 대사
- 힐 미국 대사. 북 체제변형은 태도변화 의미
- “한미관계 상호 존중바탕위에서 더욱 긴밀해질 것”-힐 주한미대사
- 미 아미티지 국무부 부장관, 남한정부 의견 감안해 북한 인권법 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