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재확산 공포에 휩싸인 아시아

0:00 / 0:00

아시아 지역에서 조류독감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는 보도가 최근 나오고 있는 가운데, 중국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해당 국가들은 조류독감의 인체감염 가능성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김나리 기자와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최근 조류독감 발생 현황과 반응에 대해 자세히 살펴봅니다.

10일 중국정부가 이례적으로 인체에 치명적인 H5N1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를 발표했지요?

네. 중국 보건성은 동부 안휘(Anhui) 지방에서 지난 달 H5N1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37세 농부가 완치 후 지난 6일 퇴원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농부는 가금류 접촉을 통해 조류독감에 감염된 것은 아니며 중국 보건성은 감염원인을 계속 조사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이처럼 인체감염 사례가 발생하기는 6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중국은 지난 2003년 이후 조류독감으로 총 14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22명의 감염자를 기록했습니다.

동남아국가에서 가장 많은 조류독감 사례가 발생한 인도네시아에서도 지난 10일 조류독감에 감염된 환자 한 명이 사망했다지요?

그렇습니다. 자카르타의 퍼사하바탄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오던 14세 소년이 10일 사망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003년 12월 이후 지금까지 76명이 조류독감에 감염됐고 이 중 58명이 숨졌습니다. 14세 소년의 죽음은 작년 11월 35세 여성이 75번째로 조류 독감에 감염된 이후 두 달 만에 발생했습니다.

지난 1년간 조류독감 발병사례가 없었던 베트남에서도 또다시 조류독감이 발생해 당국이 비상에 걸렸죠?

네. 작년 12월 이후 재발한 조류독감으로 베트남에서는 최근까지 3만 마리의 조류가 도살됐습니다. 그렇지만 지난 1년 동안 베트남에서는 조류독감의 가금류나 인간 감염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과거 조류독감이 추운 계절에 확산되었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오는 2월과 3월에 똑같은 상황이 되풀이될지도 모른다고 세계보건기구의 서태평양 지역본부의 피터 코딩리 대변인이 우려했습니다. 이에 대해 베트남 긴걍(Kien Giang) 지역 동물보건부장인 딩꽁탕(Dinh Cong Than)씨는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회견에서 베트남 지역에서의 조류독감 확산이 진짜 위험하며 대단히 걱정스럽다고 밝혔습니다.

Than: (In the professional fields, we agree that this is a real danger and very alarming. Because this is the time of traditional new year pf Tet, the poultry consumption and transportation always at full blown...)

"조만간 베트남 음력설이 돌아오기 때문에 닭이나 오리 등의 가금류 소비도 최고치에 이르게 되며, 고향을 방문하는 귀성 행렬이 시작될 것입니다. 보건 당국이 효과적으로 통제를 하지 못할 경우 조류독감은 베트남 전 지역으로 확산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노력을 집중해야합니다."

이처럼 동남에서 조류독감이 번지고 있는데 남한과 북한의 경우는 어떠한가요?

남한에서는 작년 11월 남한의 전북 익산에서 조류독감 처음으로 발생한데 이어 충남 아산에서도 발생하는 등 점차 조류독감 감염사례가 북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남한 당국은 1백만 마리 이상의 조류를 도살했습니다. 남한에서는 현재까지 인체 감염 사례는 없습니다. 북한에서는 지난 2005년 3월 평양 하당에 있는 닭 공장에서 시작돼 주요 닭공장에서 조류 독감이 연속적으로 발생해 닭 수십만 마리가 폐사됐습니다. 당시 북한에서 발생한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H7 계열로 인체에 감염되지 않는 바이러스였던 것으로 판명됐습니다.

그런데 조류독감에 걸린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조류독감을 옮길 수 있습니까?

사람에게 조류독감이 퍼질 가능성은 지난 12월 27일 이집트에서 일가족이 인체에 치명적인 H5N1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하자 제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유엔 세계식량농업기구의 후안 루브로쓰(Juan Lubroth, Senior Officer) 동물보건부(Animal Proudction and Health Division) 전염병 담당 관리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좀 더 조사가 필요하다며 사람 사이의 감염에 대한 섣부른 결론을 경계했습니다.

그렇다면, 전 세계적으로 H5N1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 사람의 수는 얼마나 됩니까?

지난 2003년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10개국에서 263명의 사람들이 H5N1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157명은 결국 목숨을 잃었습니다. 현재까지 조류독감의 사람사이의 감염 가능성은 아직까지 확인된 바 없습니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사람 사이에서 전 세계에 급속도로 확산돼 수주 안에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죽일 수 있는 전염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워싱턴-김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