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24
북한 국경봉쇄 장기화로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올해 대북지원 사업이 중단될 경우 북한 주민들의 식량 안보에 큰 타격이 우려됩니다.
2021-02-24
북한의 엘리트 계층이 인터넷에 무제한 접근할 수 있으며 인터넷 사용률이 지난 몇년새 급증했다는 사이버보안 전문가의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2021-02-24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북 관여를 통해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진의를 파악해야 한다는 한미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습니다.
2021-02-24
세계식량계획이 북한의 국경 봉쇄가 길어질 경우 올 해 대북지원을 전면 중단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2021-02-24
북한이 지난 2016년 발표한 국가경제발전 5개년전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자력갱생으로 중공업 재건을...
2021-02-24
요즘 북한의 식당 음식값이 단번에 북한 돈 천원 이상 크게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식량난과 식료품 가격 급등으로...
2021-02-24
북한 권력 서열 3위로 알려진 북한 노동당 조용원 비서가 막강한 힘을 가진 안전보장 기구의 총책임자 역할도 함께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2021-02-24
북한 노동자들이 코로나19 국경봉쇄를 이유로 중국에 남아 현지 북한 식당과 공장 등에서 계속 외화벌이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2021-02-24
한국의 제1야당인 국민의힘이 북한인권법에 따라 설립돼야 하는 북한인권재단의 이사 5명에 대한 추천서를...
2021-02-24
서훈 한국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미국의 새 행정부와 긴밀히 소통·협력하면서 빠른 시일 안에 포괄적 대북전략을 공동으로...
2021-02-23
북한의 국경봉쇄 조치 이후에도 평양에 남아 공관을 운영했던 유럽연합(EU) 4개국 중 한 곳인 체코가 이달 대사관 운영을 임시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2021-02-23
한국의 이른바 ‘대북전단금지법’ 시행이 한 달 가량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제 인권단체들은 계속해서 이 법의 재고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2021-02-23
미국의 존 하이튼(John Hyten) 합동참모본부 차장은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는 주로 북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미사일 방어능력을 강화해 북한의...
2021-02-23
미국 연방 하원에서 23일 사이버 대북제재 조항을 담은 사이버외교법안(Cyber Diplomacy Act of 2021)이 재발의됐습니다. 하원 외교위원회는 이날...
2021-02-23
최근 미국 정부가 북한의 불법 해킹 활동에 대대적인 주의보를 내리며 대응책 마련에 나선 가운데 전문가들은 해킹이 코로나19 시국에 북한이 보유한...
2021-02-23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가 향후 대북 관여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미국 연방 의회의 목소리를 담은 미국 연구기관 보고서가 공개됐습니다.
2021-02-23
북한 내 시장이 확대되고, 시장을 통한 개인들의 상업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시민사회(civil society)의 일부 기반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2021-02-23
유엔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위한 자금 상황이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여름보다 모금액이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필요액의...
2021-02-23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대유행은 북한 주민들의 탈북과 이들을 안전하게 구출하기 위한 활동도 가로막고 나섰습니다.
2021-02-23
북한당국이 코로나사태로 중단된 국경무역이 곧 재개되니 이에 대비하라고 각 무역기관들에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21-02-23
요즘 북한당국이 뜬금없이 주민들에게 차를 즐겨 마실 것을 적극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21-02-23
북한 주민을 위한 정보 유입은 매우 중요하다며 한국 정부의 대북전단금지법이 폐지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