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의 북한관련 인권단체들이 유엔총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이 실시되는 11월 중순을 전후로 남한 정부의 찬성표결을 촉구하는 규탄 집회를 엽니다. 이와 관련해 북한인권개선 국제 대회 준비위원회 김윤태 사무국장은 남한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들이 적극 나설 것이라고 10일 자유아시아 방송에 밝혔습니다.
미국의 인권단체 프리덤 하우스와 남한 민간단체들이 개최하는 북한 인권개선 국제대회 준비위원회 김윤태 사무국장은 이미 10일 종교 시민 사회단체 회원들이 유엔북한인권 결의안 촛불 기도회를 열고 정부가 유엔총회에 상정된 북한인권 결의안 표결에 찬성표를 행사할 것을 촉구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정부가 지난 3년 동안 유엔 인권위원회 대북 결의안 표결에 불참하고 기권을 했기 때문에 많은 시민단체들이 정부의 태도를 주시 하면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윤태: 북한 인권관련 엔지오 들이나 종교계에서 대한민국정부가 북한인권 결의안에 기권 하거나 불참할 경우 그에 항의 하는 다양한 모임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단 10일 종교계차원에서 촛불집회가 열렸고 정부가 불참할 때 대학생들 중심으로 그에 상응하는 규탄집회와 항의집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오는 12월에 서울에서 열리는 국제인권대회 준비위원회는 지금행사를 이끌 조직을 정비하고 있다며 이 일이 마무리되는 대로 대응할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윤태: 지금 조직체계를 꾸리고 있어 이것이 다 되면 나름대로 대응과 입장을 밝힐 것입니다. 탈북자들도 남한 정부에 유엔결의안 기권방침 여부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고 관련단체들의 협조를 통해 공동대응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어 최근에 결성된 뉴라이트 전국연합은 곧 정부의 표결 안 찬성을 촉구하는 거리 집회를 계획하는 등 시민사회단체 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김윤태: 지금 정치권 한나라 당이나 열린 우리당 또 다른 정당들도 북한인권 문제를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심들이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움직임들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대북결의안에 기존의 입장을 그대로 고수 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김성곤 의원은 지난 8일 당 내부에서도 북한인권 문제를 거론할 때가 되었다는 주장도 있고 하지만 6자회담이 열리고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 등 의견이 다양하다며 곧 당 차원의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야당인 한나라당은 유엔총회 인권결의안 표결 참여 촉구 결의안을 16일 본 회의에 상정 할 방침입니다. 한나라당은 7일 통일외교통상위원회전체 회의에서 표결 여 촉구 결의안 안건을 상정했지만 여당인 열린 우리당의 동의를 얻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시민단체, 비정부기구들의 대응으로 유엔총회에 상정된 북한인권 결의안이 일반 시민들 에게도 널리 알려지면서 이번 결의안 표결에도 많은 관심을 기우리고 있다고 김 사무국장은 전했습니다.
김윤태: 북한 인권이라는 주제는 어떤 단체들이나 관련 전문가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관심이 되고 있고 남한의 일반 시민들도 북한인권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게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는 이어 지난여름에 미국에서 열렸던 북한인권 국제대회가 이번에 서울에서 그리고 내년 봄에는 유럽에서 열리는 등 북한의 인권문제가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는데 남한 정부가 유엔총회 표결에서 기권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원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