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의 학자, 정치인, 시민운동가들이 9일 8.15 광복절에 맞춰 ‘광복 60주년 북한인권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남한사회 전반이 북한 인권상황에 관심을 갖고 개선노력에 동참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남한 시민단체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납북자가족협의회, 피랍탈북 인권연대 등은 9일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남한 각계 인사들에게 서명을 받은 북한인권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북한 인권문제에 침묵하는 것은 양심과 도덕성을 포기하는 정신적 자살행위이라고 규정하면서 남한 정부와 시민사회가 북한 인권 실태 관심을 갖고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이들은 남한 정부가 그 동안 남북 관계를 앞세워 인권 문제에 침묵해 왔다면서 북한 주민의 인권을 비롯해 납북자, 탈북자, 국군 포로들의 인권 문제도 적극 다뤄나가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 회의 오준석 정책과장의 말입니다.
오준석: 남한 정부는 납북자, 탈북자, 국군 포로들의 인권 문제를 정부 정책의 주요 과제로 다뤄나가야 할 것입니다.
이들 단체들은 광복 60주년을 맞아 북한 인권이야 말로 한민족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라는 판단 아래에 광복절을 즈음해 북한 인권 선언을 발표하게 됐다면서 이번 선언을 통해 북한 인권 운동이 국민운동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했습니다.
이번 북한 인권 선언은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와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자유주의연대 등의 시민단체들이 공동 제안했고 서울대 박효종 교수와 황장엽 북한민주화동맹위원장, 김문수 한나라당 의원 등이 동참했습니다.
특히 북한인권단체들은 탈북자와 대학생 등 5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1일 오후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북한인권개선 촉구대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