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제재국면 속 노동자 중국 파견 지속

0:00 / 0:00

앵커 : 북한이 4차 핵실험 이후에도 외화벌이를 위해 중국 등 해외에 노동자들을 계속 파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세한 소식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해외근로자 파견 상황에 밝은 중국의 북한 소식통은 21일 “약 열흘 전에 100여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중국 동북지방에 일하러 나왔다”면서 “이들은 현재 한 공장에서 노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보안상 북한 노동자들이 종사하는 업종이나 공장의 이름을 밝힐 수 없지만, 노동자들을 인솔하고 나온 북한 간부는 몇 년 전에도 중국을 드나들며 인력 송출에 관여했던 사람”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 노동자의 중국 입국은 핵실험을 단행한 이후에 이뤄진 것으로, 현재 유엔 차원에서 대북 제재가 논의되는 가운데서도 북한이 인력 파견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소식통은 “북한 노동자들은 취업비자가 아니라 공무여권을 가지고 나왔다” 면서 “이들은 공장에 집단 합숙하면서 외부 출입을 일절 못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북중간 비자협정에 따라 공무여권을 소지한 북한 노동자들은 최대 30일까지 중국에 체류할 수 있습니다.

북한은 이러한 이점을 이용해 우선 노동자들을 공무여권으로 중국에 입국 시킨 뒤, 중국 업자들과 짜고 공장에 합숙시키고 일 시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노동자들은 비자만료가 되면 불법 체류자가 되기 때문에 비자가 만료되기 (30일) 전에 북한에 잠깐 입국했다가 다시 출국하는 방법으로 중국의 법망을 교묘하게 피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노동자들이 정식 취업 비자를 받고 일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명백히 불법이라고 이 소식통은 못박았습니다.

중국 선양(심양)의 또 다른 소식통도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중국 정부도 경계하기 때문에 북한도 노동자들의 취업을 숨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현재 심양에 나와 있는 북한 식당 종업원들도 대부분 공무여권을 가지고 일하는 사람들”이라면서 “북한에 수출원천이 고갈됐기 때문에 외화를 벌기 위해 더 많은 노동자들을 파견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른바 ‘개미군단’이라고 부르는 북한 해외 인력이 1인당 300달러씩만 벌어다 바쳐도 1년동안 당국이 벌어들이는 돈은 무시할 수 없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그는 “현재 북중 국경지방에서 이뤄지는 밀수는 미미한 수준”이라면서 “북한의 자금 줄을 죄기 위해서는 해외 인력 파견에 빗장을 질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중국 정부가 북한 근로자들의 위장 취업 문제만 제대로 검열해도 북한에는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