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에서 시장경제가 정착되면서 단속자들에게 항거하는 시장 상인들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인들의 집단행동은 권력자들의 비리와 횡포가 주요 원인으로 되고 있다고 합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4월 강원도 지방을 여행했던 북한 주민과 연락하고 있는 한 대북소식통은 "도로상과 골목 장터 등에서 보안원과 군인들에게 항거하는 장사꾼들의 모습을 여러 차례 볼 수 있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2일 밝혔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강원도 원산지방의 골목장터, 즉 '메뚜기장터'에서 물건을 팔고 있던 주민 10여명은 보안원과 규찰대가 물건을 회수하려고 달려들자, 집단적으로 행동해 좌절시켰다는 것입니다.
소식통: 사람들은 시장에 가면 시장세를 내야 하니까, 그걸 아끼려고 집 앞에 놓고 물건을 파는 데 (보안원들이)단속사업을 해서 이 사람들이 막 피를 물고 나서서 그렇게도(빼앗지) 못했대요.
그는 "지금은 장사하는 사람들끼리 뭉쳐 서로 재산을 지켜주려는 협동심이 커졌다"면서 "이런 모습은 도로상에서 서비차를 이용하는 '달리기'들과 시장 장사꾼들 속에서 종종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단속에 고분고분 응하거나 불이익을 당하던 지난날의 주민들이 아니라 집단행동도 서슴지 않는 이러한 행동은 2009년 화폐개혁 이후 두드러진 변화라고 소식통은 언급했습니다.
소식통: 그때 당국이 (주민들에게)재고로 가지고 있던 돈을 바치라고 하니까, '내가 이 돈을 왜 바쳐?' 라고 하면서 '손끝으로 번 돈 인데…'라고 하면서 사람들 앞에서 휘발유 뿌리고 불태워 버리고….
2009년 12월 당시 북한은 후계자 신분이던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하고, 시장경제를 말살하기 위해 화폐개혁을 벼락같이 단행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보유하고 있던 돈을 하루아침에 다 잃은 주민들 속에서는 당국에 대한 반항심이 분출했고, 그에 항거해 돈을 소각하다 처형당한 사람도 있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북한당국도 화폐 개혁실패를 인정하고, 외화사용을 허용하며 시장을 방치해온 것은 당시 시장 민심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뚜렷한 증거라고 그는 주장했습니다.
현재 북한 상인들이 암시장에서 돈을 벌어 달러나 위안화로 보관하는 것도 북한 정권의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겁니다.
남한의 대북전문매체인 데일리NK는 지난 26일 무산군 장마당에서 상인들이 단속에 나선 보안원들과 집단 난투극을 벌였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상인들의 집단행동은 북한 권력자들의 단속을 더는 좌시하지 않겠다는 뚜렷한 증거로 볼 수 있다고 복수의 북한 관측통들은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하지만, 평안북도 국경지방의 50대 주민은 "상인들의 집단 행위는 정부에 대한 도전보다는 비리나 부패로 얼룩진 보안원이나, 규찰대에 대한 불만으로 표출되고 있다"며 "반정부 행동으로 보기는 아직 이르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