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중유 지원’ 濠·뉴질랜드 자금 받아 한국이 일괄 집행

한국이 호주와 뉴질랜드로부터 일본이 분담했던 대북 에너지 지원분을 받아 북한에 중유로 일괄 지원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00 / 0:00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일본에 할당된 중유 20만 톤 상당의 자금을 호주와 뉴질랜드로부터 받아 일괄적으로 중유를 조달해서 북한에 지원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교도 통신이 3일 보도했습니다.

통신은 한국이 6자 회담의 '경제, 에너지 지원 실무그룹 회의' 의장국이기 때문에 호주와 뉴질랜드가 직접 중유를 조달, 제공하기보다 한국에 일임하는 편이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이같은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통신은 또 8일 북경에서 열리는 6자 회담 수석대표 회담에서 한국이 조달, 제공 업무를 수행하는 방안이 정식으로 제안될 것이라고 보도하면서, 수석대표 회담 때까지 자금을 제공하는 나라 별 내역이 최종 확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에 제공하기로 합의한 100만 톤 상당의 중유 가운데 현재55%가 완료된 상태이나, 일본은 납치문제에 진전이 없다는 이유로 일본에 할당된 20만 톤 상당의 중유 제공을 거부해 왔습니다.

이 때문에 호주와 뉴질랜드가 대신 부담하는 방안이 유력해 지고 있으며, 북한은 나머지 지원분에 대한 이행 계획을 제시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미일 6자 회담 수석대표는 3일 도쿄에서 만나 차기 6자 회담의 주요 의제가 될 시료 채취의 문서화 문제, 핵 시설 불능화 문제, 대북 에너지 지원 문제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한미일 6자 회담 수석대표는 이날 모임에서 "북한의 핵 시설에 대한 정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북한이 거부하고 있는 시료 채취의 명문화가 불가결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습니다.

한미일 6자 회담 수석대표는 6자 회담이 열리는 북경에서 7일 다시 만나 6자 회담에 임하는 방침을 재확인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