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 납북자 가족, 미 의회 결의안 추진

0:00 / 0:00

MC: 한국전쟁 중 북한에 납치된 한국 민간인의 가족대표들이 미국 의회에서 '한국전쟁 납북자 결의안'을 추진하기 위해 워싱턴을 방문 중입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는 미국이 납북자의 생사확인과 유해송환을 위한 남북 대화의 중재자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납북자가족협의회는 미국 의회가 납북자 결의안을 논의하도록 의회 관계자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납북자가족협의회의 이미일 이사장은 이날 미국 하원 인권위원회 의장인 프랭크 울프 의원의 보좌관과 만난 것을 시작으로 오는 21일까지 워싱턴에서 의회와 국무부 관계자들과 납북자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이미일

: 휴전 회담에서 납북 민간인 문제는 실종된 것으로 처리되어 북한에 강제로 납치된 민간인 중 한 명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미국은 유엔군 대표로 휴전협정 체결의 당사자이기 때문에 의회가 납북민간인의 존재를 확인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를 원합니다.

이 이사장은 미국 의회 결의안에 북한이 한국 민간인을 납치했던 사실을 인정하고, 납북자의 생사를 확인하고 유해를 송환할 수 있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겠다고 말했습니다.

납북자 가족 대표단은 이날 오후 국무부에서 한반도를 담당하는 관리들을 만나 6자 회담이 재개되면 납북자 문제도 논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미일

: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관리와 만나서 한국전쟁 중에 납치된 민간인 문제를 북한 인권과 관련한 논의에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민간인 납북자 문제는 미국이 나서야만 북한과 하는 대화에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납북자가족협의회 대표단은 오는 21일까지 워싱턴에 머물며 민주당의 로버트 메넨데즈 상원의원과 리처드 더빈 상원의원,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찰스 랭글 하원의원과 공화당의 에드 로이스 하원의원 등 의회 관계자들을 만나 납북자 결의안과 관련한 논의를 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