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급변하는 지구의 기후변화로 해마다 큰 피해를 입는 북한을 위해 활발한 정보교류가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학술 전문지 '지구기후변화(Global Environmental Change)' 최신호에 기후변화 관련 정보교류 실태에 관한 보고서가 실렸습니다.
보고서는 덴마크, 즉 단마르크의 코펜하겐대학교 지구과학 연구팀이 전세계 197개국을 대상으로 지난 1990년부터 2010년 사이에 발행된 기후변화 관련 책자와 보고서, 그리고 학술논문 등 1만5천여 건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입니다.
조사 대상국 가운데 북한은 아프리카의 콩고, 기니비사우와 함께 기후관련 자료가 전혀 없는 나라로 분류됐습니다.
코펜하겐대학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각국의 기후관련 인쇄물 발행 여부 등을 조사했지만 북한이 자체적으로 발표한 어떠한 형태의 자료도 찾을 수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조사결과 잘 사는 나라일 수록, 그리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나라일 수록 기후변화에 관심을 갖고 각 분야에서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지만, 북한과 같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나라일 수록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며 한 나라의 경제상황과 기후변화 연구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이 높고 그로 인한 재해에 대응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북한은 외부의 도움이 절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의견입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따르면,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동안 한반도의 기온은 섭씨 1.2도가 올라갔는데, 북한은 한국에 비해 온난화 정도가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난화와 같은 기후 변화로 북한에서는 해마다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사회적 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피해가 클 뿐만 아니라 이재민의 경우 식량과 보건 등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코펜하겐대학 연구팀은 북한 내부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가 빨리 이뤄져서 전세계 각국과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해마다 반복되는 자연재해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