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당국이 최근 발생한 코로나 위기상황을 이유로 해외파견 북한노동자들에게 위기극복을 위한 기부금을 강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명목상은 기부금이지만 최고지도부의 지시임을 내세워 강요하는 것이라고 현지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관련 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랴오닝성 심양시의 한 조선족 소식통은 13일 “오늘 (중국주재) 심양영사관의 지시로 심양지구 북조선 무역대표들과 인력회사 사장들의 긴급회의가 심양 현지에서 소집되었다”면서 “회의내용은 북조선의 코로나 위기상황을 이유로 당에 기부금을 바치라는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회의에서는 어제(12일) 북조선에서 최대비상방역체계로 이행할 것이라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결정서가 채택되었음을 알리고 해외 무역회사와 인력회사가 기부금을 바치자는 안건이 제기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오후 1시에 심양시 서탑가의 모처에서 진행된 긴급회의는 2시간 이상 지속되었다”면서 “조국(북한)이 코로나로 위기상황에 처했는데 모두가 애국심을 발휘해 기부금을 바치라는 회의 안건 제기에 처음에는 선뜻 나서는 무역대표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회의가 한동안 지속되어도 무역 대표와 사장들이 서로 눈치를 보느라 코로나 기부금액을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매월 바치는 국가납부금에 노동자 숙식비 등 각종 경비에 쪼들리는 무역대표와 회사 입장에서는 또 기부금을 내라고 하니 엄청난 압박을 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회의 진행자는 코로나기부금은 어디까지나 자원적인 원칙에서 결정되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노동자 수에 따라 1개 회사당 기부금액을 정해서 기부금 명단을 작성했다”면서 “무역대표와 회사 대표를 한 사람씩 지명해 기부금액을 보고받는 바람에 돈에 쪼들리는 한 무역대표는 중국 대방에게 빚을 질 각오를 하고 1만위안(미화 약 1,400달러)을 기부하겠다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단둥시의 한 현지인 소식통은 같은 날 “오늘(13일) 갑자기 단둥영사지부 주관으로 단둥지구에 있는 북조선 회사대표들의 긴급회의가 열렸다”면서 “북조선 노동자들을 관리하는 회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 위기극복 기부금을 걷어 나라에 바치라는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코로나 기부금과 관련해 단둥 영사부의 지시를 받은 북조선 회사 대표들은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불러내 기부금을 낼 노동자 명단을 작성했다”면서 “코로나방역을 위해 한번에 10명~15명씩 불러 놓고 조국에 보낼 코로나기부금 액수를 한 명씩 일일이 확인해 기부금명단을 작성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코로나 확진자 발생상황을 내세워 충성의 기부금을 바치라는 지시에 북조선 노동자들의 불만이 표출되었다”면서 “몇 년씩이나 집에도 가지 못하고 타국에서 일해도 모아둔 돈이 많지 않은데 그것마저 빼앗으려는 거냐며 항의하는 노동자도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단둥지역 북조선 노동자들은 코로나 기부금으로 한 사람 당 1천위안(미화 약 140달러)을 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건강이 안 좋아 치료를 받느라 일을 하지 못한 일부 노동자들은 소속회사에서 기부금을 대납하기로 해 회사에 빚을 져가며 기부에 참여하는 모양새가 되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중국 단둥을 중심으로 동북3성에 있는 북한 노동자수는 8만에서 1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기자 김지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