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이번 북한 핵실험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끄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그 규모입니다. 기존의 핵실험과 무엇이 얼마나 다른지 홍알벗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지난 1월 4차에 이어 이번에 감행된 북한의 5차 핵실험은 역대 최대 규모라는 평가입니다.
한국 국방부는 9일 북한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 지진파의 규모가 5.0으로 측정됐다며 위력은 10킬로톤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이 정도 규모는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군이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했던 원자폭탄과 비슷한 규모입니다.
일부 전문가는 최소 20에서 30킬로톤까지도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월 4차 핵실험의 6킬로톤보다는 훨씬 크다는 분석입니다.
지금까지 북한에 의해 이뤄진 핵실험의 규모를 살펴 보면, 2006년 1차 핵실험때 폭발위력은 1킬로톤 이하, 2009년 2차때는 3에서 4킬로톤, 2013년 3차 실험 때는 6에서 7킬로톤, 그리고 올해 1월 4차 실험때는 6에서 7킬로톤으로 북한이 실험에 사용한 핵폭탄의 위력이 점점 강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력도 위력이지만 과연 북한이 미사일에 핵탄두를 실을 수 있을 만큼 핵무기 소형화를 이뤘느냐 하는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북한은 9일 오후 핵탄두의 위력을 판정하기 위한 핵실험을 단행했다고 밝히면서 ‘이번 핵실험에서 탄도 로켓을 장착할 수 있게 표준화, 규격화된 핵탄두를 최종적으로 확인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핵폭탄은 핵물질을 두 개 이상으로 쪼갠 다음 순간적으로 결합시키는 핵분열로 막대한 양의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통 우라늄탄과 플루토늄탄으로 나뉘는데 불발 가능성이 낮은 우라늄탄보다 플루토늄 탄을 이용한 핵실험이 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핵폭탄이 무기로서의 기능을 인정 받으려면 무게를 1톤 미만으로 줄여야 하고, 보다 작고 가벼운 신형 핵폭탄을 만들게 되면 그것에 대한 실험이 이뤄져야 위력에 대한 정확도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북한 핵무기의 정확한 크기와 무게는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북한의 목표는 스커드 미사일에 장착할 정도의 크기로 핵을 소형화해서 개발하는 것’이라면서 ‘그 목표가 당초 생각하는 것보다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돼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핵을 미사일에 탑재한다고 해도 무기화하는 것은 별개의 얘기로, 1-2년 안에 된다고는 보지는 않지만 정보 당국이 생각하는 것보다 빠른 시일 내 무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핵실험이 이뤄진 곳으로 추정되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대한 관심도 큽니다.
풍계리는 함경산맥의 해발 2205미터의 만탑산이 위치한 험준한 지역으로 접근이 어려운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풍계리는 핵무기 원료인 우라늄이 생산되는 단천지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지금까지 북한이 단행한 5차례의 핵실험이 모두 이 곳에서 이뤄졌습니다.
암반이 화강암으로 이뤄져 핵실험 이후 발생되는 각종 방사성 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크지 않고 안정적인 지질을 갖추고 있어 핵실험을 하기에 적합한 장소로 꼽히고 있습니다.
풍계리 핵실험장은 만탑산 동쪽과 서쪽에 수평 및 수직으로 갱도를 뚫어 사용하고 있으며, 달팽이관 모양으로 이뤄진 실험공간이 여러갈래의 지하 갱도로 연결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한 갱도 곳곳에 여러개의 차단문을 설치해 가스나 잔해, 그리고 방사성 물질의 유출을 최소화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풍계리 핵실험장에는 모두 4개의 갱도가 있는데 첫 핵실험은 동쪽 1번 갱도에서, 2차와 3차 핵실험은 서쪽 2번 갱도에서, 그리고 4차와 이번 5차 핵실험은 북쪽 2번 갱도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한국 정부는 ‘핵실험을 위한 갱도가 2-3개 정도 더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예측하지 않은 상태에서 북한이 또다시 핵실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는 지난 8일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입구 3곳에서 모두 일련의 활동이 포착됐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