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구원 “북 탄저균 생산 능력 우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에서 9일 열린 화상 회의에서 북한의 탄저균 생산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에서 9일 열린 화상 회의에서 북한의 탄저균 생산 가능성이 제기됐다. (RFA PHOTO/ 양희정)

0:00 / 0:00

앵커 : 최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방문한 것으로 보도된 평양생물기술연구원에서 대량의 탄저균이 생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비확산센터의 멜리사 해넘(Melissa Hanham) 연구원은 9일 김정은 제1비서가 지난달 방문한 평양생물기술연구원에서 탄저균이 생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해넘 연구원 : BT(Bacillus thuringiensis)라는 유기농 살충제를 만드는 박테리아와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이 매우 유사한 종입니다. 따라서, 살충제를 만드는 공장에서 탄저균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해넘 연구원은 이날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SAIS)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가 개최한 기자조찬회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북한 언론이 지난달 6일 김 제1비서가 방문한 유기 살충제 공장으로 알려진 평양생물기술연구원 내부 사진을 공개하면서 북한이 맹독성 탄저균을 생산할 수 있는 최신 시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설명입니다.

해넘 연구원은 그러면서 이라크나 구 소련도 군사용 생물 무기 공장을 순수 민간용 살충제 공장으로 위장한 사례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이 같은 이중 용도 가능성 때문에 국제사회의 순수한 목적의 지원이 북한의 생물무기 개발에 오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북한 언론의 사진과 다른 공개된 자료를 분석해 보면 영국의 한 민간단체 스위스 지부가 북한의 식량안보를 돕기 위해 2005년 시험적으로 유기 비료 공장 건설을 도왔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중국산으로 보이는 물품이 이 소규모 공장 사진에 나타났는데, 이는 대량살상무기 제조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물품의 수출을 금지하는 중국법을 위반했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또한 이 소규모 공장이 불과 1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규모 평양생물기술연구원의 건설과 운영을 위한 훈련장으로 사용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평양생물기술연구원 내 현대적 장비들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막기 위한 유엔의 대북제재나 1980년대 생화학물질 수출통제 정책을 협의하기 위해 미국, 유럽연합 등 41개국으로 구성된 ‘호주그룹’의 통제품목일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