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은 건군 67주년 기념사를 통해 "북한이 핵무기와 장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온다면 북한의 경제 재건을 돕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의 핵 포기 요구에 반발해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무산될 수도 있음을 경고하고 나선 가운데,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다시 한 번 북한에 핵 포기를 촉구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1일 충남 계룡대에서 개최된 건군 67주년 기념식에서 축사를 통해 “북한이 핵을 고집하는 한 고립은 깊어질 뿐이며 경제 발전의 길도 결코 열릴 수 없다”면서 북한이 즉각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북한은 우리 민족의 운명을 위태롭게 만들고 세계 평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핵 개발과 장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을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
북한은 29일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박 대통령이 최근 제7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의 핵 포기 필요성을 강조한 발언을 문제 삼으며 “이산가족 상봉이 위태로운 상태에 놓였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오는 20일부터 26일 사이 열릴 예정인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남측의 핵 포기 요구 때문에 무산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입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이날 기념식에서도 “북한이 도발과 대결로는 얻을 것이 없다는 사실을 직시하게 해야 한다"며 북한의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개발 포기를 다시 한 번 촉구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지렛대 삼아 남한 정부를 압박하려는 북한의 의도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중단을 촉구하면서 박 대통령은 “북한이 대결이 아닌 대화의 장으로 나온다면 남한과 국제사회는 북한의 경제 재건을 적극 도울 것”이라는 점도 거듭 확인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북한이 도발하면 철저히 응징하겠다”는 식의 발언은 하지 않았습니다. 유엔 총회 연설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는 박 대통령이 북핵불용 등의 원칙을 지키면서도 북한과의 대화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간접적으로 내비친 것으로 풀이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