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응해 추진중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대북제재 결의안이 북한 주민들의 생활을 어렵게 해선 안 된다고 러시아 고위 외교관이 밝혔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핵문제는 시급히 해결돼야 할 국제 현안이라고 안드레이 데니소프 중국 주재 러시아 대사가 4일 밝혔습니다.
리아 노보스티 통신 등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데니소프 대사는 이날 핵무기 개발을 위한 핵실험을 계속하고 있는 북한의 행동을 용납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며 상황 악화를 막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논의중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대북제재 결의 채택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유엔 대북제재 결의를 통해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 능력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해야 하지만 북한 주민들의 생활고를 초래해선 안 된다는 겁니다.
데니소프 대사의 이날 발언은 새 결의안에서 민생용 광물자원 수출 금지 등 제재 구멍을 막아 대북 압박 강도를 높이려는 미국과 한국 등의 입장과 배치돼 주목됩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뒤 채택된 유엔결의 2270호는 북한의 주력 수출품목인 석탄 등 광물자원의 민생용 수출을 예외로 인정했습니다.
데니소프 대사는 한발 더 나아가 새 유엔 결의가 북한의 국내 안정을 위태롭게 하거나 북한 정권을 위협함으로써 북한을 막다른 길로 내몰아선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런 러시아의 우려와 입장이 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에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자 이 달 순회 의장국인 러시아의 이같은 입장은 대북 추가제재 결의 채택에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한편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지난 1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통화를 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의 북한문제 공조 가능성에 관해 논의했다고 러시아 외교부가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