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핵 5자회담’에 미온적 반응

워싱턴-양성원 yangs@rfa.org
2016.01.22

앵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을 제외한 북핵 5자회담의 필요성을 거론한 데 대해 미국은 직접적인 언급은 삼가며 북한의 책임을 거론하는 원론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6자회담을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며 거부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관련 소식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정부는 한국 박근혜 대통령의 북핵 5자회담 언급과 관련해 미온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국무부의 카티나 애덤스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결국 북한 핵문제는 당사자인 북한이 해결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비핵화를 향한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할 책임과 추가 도발행위를 삼가할 책임은 북한에 있다는 것입니다. (The onus is on North Korea to take meaningful steps toward denuclearization and refrain from further provocative actions.)

애덤스 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의 북핵 5자회담 거론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엔 한국 정부에 문의하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We refer you to the Republic of Korea for further questions.)

하지만 중국 정부는 박 대통령의 ‘6자회담 무용론’을 일축하며 6자회담을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은 22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현재 한반도의 형세에서 대화와 담판은 여전히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방안”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관련 국가들이 2005년 6자회담 9.19공동성명의 원칙과 정신을 지키고 조속한 6자회담 재개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훙 대변인은 관련 국가들이 각자의 책임과 의무를 성실히 짊어지고 한반도 핵문제 해결을 추진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중국이 보유한 ‘특별한’ 대북 영향력을 발휘해 북한 핵개발을 앞장서서 막아야 한다는 미국과 한국 측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 세종연구소의 정성장 통일전략연구실장은 22일 ‘북핵 5자회담’이 과거 한국 정부가 이미 시도했다 실패한 접근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이 강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5자회담 추진은 향후 대북제재에 중국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실장은 이어 한국 정부는 핵무장 결단을 통해 북한의 대남 핵우위를 무너뜨리는 전혀 새로운 접근방법을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