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배려라며 '노동단련대' 처벌을 받은 수감자 상당수를 석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민들속에서는 이러한 조치를 환영하면서도 그 배경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이 김일성 주석의101회 생일을 앞두고 일부 간부들과 주민 범법자들에 대한 처벌을 감면하거나 무효화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북한 내부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이러한 조치가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배려라고 크게 선전하고 있다고 그들은 덧붙였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10일 “(김일성의 생일) 4월 15일을 맞으며 노동단련대 처벌을 받은 사람들을 대거 석방했다”며 “여성들은 거의 100% 석방됐고 남자들도 형량을 절반이상 감면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각 시, 군들마다 있는 ‘노동단련대’는 10개월 미만으로 형량을 받은 경범죄자들을 수감하는 시설로 150명 규모의 수감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곳에 수감된 주민들은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가혹한 노동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당국은 4월 8일부터 5개월 미만으로 형기가 남아있는 ‘노동단련대’ 수감자들을 모두 석방하고 그 이상의 형기가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수감기간 5개월을 면해 주었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남도의 한 주민은 “노동단련대 처벌자들뿐만 아니라 ‘혁명화’로 노동현장으로 쫓겨났던 간부들도 대부분 복직되고 있다”며 “4.15를 맞으며 김정은의 배려로 예견치 않게 이러한 조치가 취해졌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미 자리가 차 현직으로 돌아가지 못 할 간부들에 대해서는 처벌을 받기 전과 비슷한 직급으로 간부사업(인사조치)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복직되는 간부들로 각 도당들에서 ‘충성의 결의 모임’도 진행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양강도의 소식통은 “노동단련대 처벌을 받은 사람들의 석방 문제를 놓고 주민들속에서 논란이 많다”며 “한편으로는 좋게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김정은의) 낯내기(생색내기)라는 비판도 많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처벌을 면죄해주거나 감면해주면서 김정은의 배려를 지나치게 강조해 오히려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얘기입니다.
그런가하면 일부에선 “단련대인원이 너무 초과돼 인원조절이 불가피했을 것”이라며 “수감시설이 부족하다는 얘기를 하기 창피하니까 ‘배려’라는 말로 포장한 것”이라고 당국의 석방조치에 별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그는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