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일본이 사전 통보 없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성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출한 데 대해 한국 등 주변국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일본의 에다노 유키오 관방장관은 6일 “저 농도의 방사성 오염수를 4일부터 태평양 쪽으로 방출한 것은 더 높은 농도의 오염수가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말하면서 “이런 사정을 인접 나라에 사전에 상세하게 통보할 필요가 있었다”며 일본정부의 실책을 인정했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주일한국 대사관은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출을 발표한 4일 오후 오염수 방출 개시 시점과 방출량 등에 관한 사실관계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일본 정부의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정부의 확인 요청이 계속되자 일본 외무성은 6일 주일 한국 대사관 관계자를 불러 방사성 오염수 방출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면서 앞으로는 신속한 정보 제공 등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한편 러시아와 중국도 일본이 사전 통보 없이 방사성 오염수를 방출한 데 대해 크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러시아의 이와노프 부총리는 “일본이 방사성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기 전에 해외 전문가들과 이 문제를 논의했어야 했다”고 말하면서 “일본이 러시아 원자력 전문가들에게 협력을 구하지 않았다는 점이 불만”이라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습니다.
중국의 언론 매체들도 “일본이 방사성 오염수 1만 톤을 태평양에 방출했다”고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중국 정부가 국가 해양국 연구원들을 파견해 바닷물을 채취하고 방사성 물질의 관측량이 변화하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러시아, 중국 등 인근 나라의 반발이 거세지자 마쓰모토 다케아키 외무상은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의 오염수 방류가 국제법에 위반되는 행위는 아니다”라고 항변하면서 “현시점에서 오염수가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 전문가들에 따르면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 조약은 해양 환경의 보호, 보전을 규정한 ‘유엔 해양법 조약’, 체르노빌 원전 사고를 계기로 만들어 진 ‘원자력 사고의 조기 통보에 관한 조약’, 선박에서 폐기물을 투기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양 오염 방지 조약’ 등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방사성 오염수 방출과 직접 관련된 국제 조약은 없다는 것이 일본 전문가들의 말입니다. 그러나 일본 전문가들은 “방사성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인근 나라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을 참작해서 미리 관계국에 통보했어야 했다”고 일본 정부의 무성의한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한편 일본의 해당 지역 지방자치단체와 어업협동조합도 일본정부의 방사성 오염수 방출에 반발하면서 “경제 산업성 산하 원자력 안전 보안원 관계자가 현지로 와서 해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5일에는 이바라기 현 앞 바다에서 잡은 까나리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돼 까나리의 출하를 정지하는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까나리는 한국과 일본에서 젓갈로 만들어 먹는 작은 물고기입니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누출 사고는 인근 지역의 농업, 축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수산물 출하에도 큰 타격을 입힐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