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북, 민간 고사포부대 확대 재편

워싱턴-노정민 nohj@rfa.org
2015.07.27
anticraft_firearm_demo-620 지난 6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군인과 군관(장교)학교 학생 등이 참가한 고사포병 사격경기를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북한에 계신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을 중심으로 미국과 한국 등 국제사회에서 일어난 일들을 통해 북한의 정치와 경제, 사회를 엿보고 흐름과 의미를 살펴보는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입니다.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오늘의 초점으로 시작합니다.

- 북한에는 정규군 외에 약 350만 명의 민방위, 즉 대규모 기업소나 철도 등 중요 시설을 방어하는 민간무력 조직이 있습니다. 이중 ‘반항공부대’인 고사포부대가 7월부터 크게 재편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인민무력부 산하로 새롭게 조직되면서 규모가 커지고 장비도 교체 중이라고 합니다.

“첫째는 반항공부대를 확대하는 문제, 그리고 두 번째는 인민무력부 산하로 옮기는 의제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이에 대해 현지 취재협조자들도 놀랐다고 합니다.”

고사포부대의 재편은 중국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란 분석이 있는데요, 그동안 정치·경제적으로 중국을 경계해온 북한이 동시에 국경 지역에서도 중국에 대한 군사적 경각심을 높이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와 함께 <지금, 북한에서는> 시간으로 꾸며봅니다.

- 7월 들어 ‘반항공 강화’에 관한 논의

- 철도 담당 고사포부대, 규모 늘리고 장비도 교체

- 소속도 민방위에서 인민무력부 산하로

- 고사포부대 개편은 ‘중국의 위협’에 대비?

- 정치·경제적 경계에 이어 군사적 경계 강화 해석도


북한 함경북도의 민간 ‘반항공부대’가 7월부터 규모와 장비 면에서 크게 재편됐다고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가 2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함경북도의 철도나 대규모 기업소 등 중요 시설에서는 전시상황에 대비해 방공임무를 수행할 ‘반항공부대’를 조직하고 고사포 훈련을 해왔는데요, 이 고사포부대가 7월부터 재편된 겁니다.

실제로 북한에는 ‘전인민의 군사화’ 정책에 따라 정규군 외에 '노동적위대', '교도대', '붉은청년근위대' 등 약 350만 명의 민간 무력이 조직돼 있는데요, 그중 기업소나 중요 시설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부대까지 만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의 설명입니다.

[Ishimaru Jiro] 북한의 민간 무력도 무기를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고,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거든요. 그런데 큰 기업소나 중요한 시설마다 근무하는 노동자들을 조직해 부대까지 만든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전쟁 시 철도가 매우 중요한 수송 수단이기 때문에 이것은 군부대뿐 아니라 이곳의 노동자들도 근무하게 돼 있습니다. 특히 고사포부대에 관해 언급했지만, 최근 김정은이 공군, 항공부대, 반항공부대 등의 시찰을 많이 하지 않습니까? 그 영향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반항공 무력에 관해서도 신경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7월 들어 회의가 자주 열리고, 반항공 강화에 관한 의제로 논의가 있었다고 합니다.

함경북도의 취재협력자에 따르면 고사포부대 재편의 중점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반항공부대'의 확대. 지금까지 고사포는 주로 여성이 조종했지만, 이제 남성도 편입합니다. 함경북도의 취재협력자는 “예를 들어 철도는 공습을 대비해 여러 부서마다 12명 규모의 고사포소대 두 개를 두고 있었지만, 이제는 4개 소대로 늘어나게 됐다"며 "특히 반항공부대'는 민방위 산하에서 벗어나 인민무력부에 바로 편입됐다"고 말했습니다.

원래 민간 무력을 총괄하는 민방위사령부도 인민무력부 아래에 있지만, 인민무력부가 고사포부대를 직접 관할하게 된 건데요,

[Ishimaru Jiro] 첫째는 반항공부대를 확대하는 문제, 그리고 두 번째는 인민무력부 산하로 옮기는 의제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이에 대해 현지 취재협조자들도 놀랐다고 합니다. 인민무력부 직할 조직이 된다면 정규군화가 되는데요, 직장을 그만두고 군인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부대를 강화하고, 예산, 장비도 강화한다는 것을 듣고 ‘무언가 이유가 있을 것이다’란 설명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취재협조자가 참석한 회의에서는 400명이 근무하는 철도국에서 12명으로 구성된 두 소대가 있는데, 이를 4개 소대로 확대했습니다. 철도 근무도 하지만, 기본은 반공부대 근무를 제1순위로 한다고 합니다. 군대생활과 비슷한 수준의 근무를 한다는 거죠.

또 하나는 장비의 교체. 부대마다 구식 고사포를 신식으로 교체했습니다. 이동식 고사포는 구식의 경우 바퀴가 4개로 균형이 좋지 않아 두 바퀴 고사포로 바뀐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 함경북도에서 고사포부대를 재편하고 장비를 교체하는 것과 관련해 또 다른 함경북도의 취재협력자는 중국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특히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면서 중국에 가까운 함경북도에서는 당이나 직장에서 중국에 대한 경계를 소홀히 하지 말 것에 관한 정치학습을 반복하고 있는데요, 정치, 경제에 이어 군사적인 면에서도 중국에 대한 경계를 강화한다는 겁니다.

[Ishimaru Jiro] 이미 많이 보도됐지만, 북한과 중국 관계가 계속 좋지 않습니다. 김정일 시대부터 중국에 대한 경계심은 계속 있었어요. 특히 중국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아질수록, 국제사회에서 중국을 정치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볼 때 유일영도체계를 강조하는 김정은도 당연히 경계할 수밖에 없지만, 그것이 장성택 숙청 이후 강화됐습니다. 실제로 지방의 당 회의나 직장의 정치학습에서는 자주 중국에 대한 공격적인 교양사업을 합니다. 이전에도 해왔고, 지금도 하고 있어요. 결국, 경제적·정치적인 면뿐 아니라 군사적인 면에서도 경각심을 함께 높여야 한다는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 같거든요.

다시 말해 중국과 가까운 인접 지역에서 아무리 정치· 경제적으로 중국을 경계할 것을 강조하지만 군사적인 경계심이 없는 것도 앞뒤가 맞지 않기 때문에 동시에 군사적인 면에서도 교양사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이에 따라 군대 내에서도 계속 중국의 위협을 강조하면서 이를 염두에 둔 고사포부대의 증강과 재편이 진행됐다는 것이 ‘아시아프레스’의 설명인데요,

[Ishimaru Jiro] 같은 사회주의인 중국이 많은 경제발전을 이뤘고, 북한에서 사용하는 물품들은 대부분 중국제가 아닙니까? 이 때문에 중국이 성공했다는 인식을 하게 됐고, 경제적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중국이 우리 정치에 간섭할 수 있다는 경계심, 따라서 내부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경각성을 높여야 한다는 교양사업이 계속됐습니다. 특히 중국과 가까운 인접 지역에서는 아무리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국을 경계하라면서도 사실 국경과 인접한 지역에서 군사적인 경계심이 없으면 이상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당연히 군사적인 면에서도 교양사업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이미 함경북도에서는 고사포부대에 관한 재편이 시작됐고, 지금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는 중국의 위협을 고려한 재편으로 관측되는 만큼 중국과 가까운 양강도와 자강도, 평안북도 등에서도 비슷한 지시가 있을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오늘 순서는 여기서 마칩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정민입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