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대상 1:1 현장체험 교육-전국 세 곳서 시범 실시

탈북자가 지역사회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오는 27일부터 거주 지역에 전입한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민간이 주도하는 ‘지역적응교육’을 실시한다고 한국 통일부가 밝혔습니다.
워싱턴-이진서 leej@rfa.org
2009.03.17
보도에 이진서 기자입니다.

앞으로 탈북자들은 자신이 사는 지역의 탈북자 지역적응센터에서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교육문제, 직업을 갖기 위한 직업 훈련 교육 등 남한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한국 통일부는 올해 시범 사업인 탈북자 지역적응교육센터의 운영을 맡게 되는 곳은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대구 등 모두 세 곳이라고 밝혔습니다.

남한에 있는 탈북자 절반 이상이 사는 서울은 노원구 공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김포와, 부천, 광명 등 경기도 서부 지역은 덕유사회복지관에서 그리고 지방은 대구에 있는 북한이주민지원센터가 탈북자들이 남한 생활에 빨리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업무를 맡게 됩니다. 노원구에 있는 공릉종합사회복지관 김선화 부장입니다.

김선화: 민간에서 활동하는 사람으로서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고 또 민간이 가진 다양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양자가 협력하는 특별히 탈북자가 밀집해 사는 이런 지역에서 협력 체계가 구축됐다는 사실이 굉장히 의미 있다고 봅니다.

그동안 탈북자가 사는 지역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정부 제도로는 보호 담당관과 지역 협의회가 있습니다. 또 민간차원으로는 복지관에서 탈북자가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 업무를 해왔습니다.

그 교육이 의자에 앉아서만 하는 하나원의 교육이 아니라 본인과 관련이 된 기관, 학교, 취업할 수 있는 곳을 다 돌면서 하는 현장 체험 교육이고 1:1 교육이란 것이 큰 차이점이고

그러나 이러한 지원 사업들이 행사성에 그치거나 다소 산발적으로 이뤄진 측면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여름이면 탈북자들과 함께 여행을 가거나, 대학 졸업을 앞둔 가을철이면 취업 박람회를 열어 상담을 해주고 연말이 되면 탈북자와 함께하는 송년회를 여는 일들입니다. 이 일들은 연중행사처럼 굳어져 탈북자가 남한 사회를 이해하고 빨리 사회 구성원으로 진입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을 탈북자 지원업무를 하는 사람들 사이에 받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김선화 부장은 이제 지역적응센터에 찾아오는 탈북자들은 물건 사는 방법, 은행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병원에서 진료를 신청하는 방법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일들을 직접 현장교육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김선화: 그 교육이 의자에 앉아서만 하는 하나원의 교육이 아니라 본인과 관련이 된 기관, 학교, 취업할 수 있는 곳을 다 돌면서 하는 현장 체험 교육이고 1:1 교육이란 것이 큰 차이점이고

이러한 통일부의 민관협력 시범 사업을 탈북자들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숭의동지회 최청하 사무국장입니다.

최청하: 해야죠. 지금 취업 방안이 아무것도 없으니까 그런 방법이라도 나오고 해서 뭐 다양하게 해서 취업에 길이 열려야죠. 그런 것들이 조직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과 경기, 대구에 지정된 탈북자 지역적응센터에서는 의료기관, 교육기관, 복지기관 등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거주지에 전입한 탈북자를 대상으로 하루 4시간에서 8시간까지 교육해 총 60시간 3주에 걸쳐 집중 교육을 합니다. 특히 이번 사업은 탈북자들이 정부의 지원 없이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취업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