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양강도와 함경북도 등에 이동초소를 설치하고 주민에 대한 임시 검문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는 6일, 북한 보안원이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하면서 지나가는 주민의 통행증 유무와 행선지, 이동 목적 등에 대해 검문을 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특히 고정 초소는 버스나 트럭, 써비차 등의 운전기사들이 안면이 있는 보안원에게 뇌물을 제공해 검열을 피할 수 있지만, 이동 초소의 검문은 언제, 어디에서 있을지 예측할 수 없어 매우 불편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의 설명입니다.
[Ishimaru Jiro] 이동 초소는 보안원들이 오토바이 타고 가다 지나가는 사람이나 차량을 세워 무자비하게 검열하는데, 이동초소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많이 들립니다. 특히 이동초소가 많아지면서 사람들이 미처 이에 대비하지 못한다는 거죠. 이동초소가 갑자기 많아진 이유는 200일 전투 때문이라고 하는데, 최근 한 달 사이에 많아졌다고 합니다.
200일 전투 기간인 북한에서 많은 주민이 직장에 출근하거나 농촌 동원에 참여하는 대신 개인적인 장사를 하기 때문에 이를 통제하기 위한 이동초소가 많아졌다는 겁니다.
이 밖에도 검문소마다 증명서를 검열하는 절차와 수위도 매우 까다로워지고 복잡해져 북한 주민이 이동하거나 장사하는 데 큰 불편과 지장을 겪는 것으로도 알려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미 북한 내에 휴대전화가 많이 보급돼 있어 검문소에서는 직접 관계자에 전화를 걸어 통행증에 적혀 있는 여행 목적과 사실 등을 직접 확인하기 때문에 통제와 검열의 강화로 점점 이동이 어려워지는 것을 실감한다고 이시마루 대표는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함경북도 회령시에서는 보안서가 뇌물을 받고 여행증명서를 발급해 준 사실과 관련해 중앙부처가 직접 검열을 진행하고 있어 앞으로 여행증명서 발급 절차와 검문소의 검열 등 이동 통제는 더 강화할 것으로 관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