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칼라튜 칼럼] 공산주의와 아프리카 독재국

0:00 / 0:00

남아프리카공화국 언론에 따르면 아프리카 남부에 있는 국가 짐바브웨에서 북한의 축구국가대표팀이 다음 달 자국에서 전지훈련을 하려고 하는 계획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유는 북한이 1980년대 짐바브웨에서 일어났던 대학살에 참여했기 때문입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언론에 따르면 짐바브웨의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은 독재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1980년대초 반대파를 제거에 북한의 도움을 요청했고 북한 군사교관들이 훈련시킨 무가베 대통령의 친위부대가 수년에 걸쳐 약 2만 여명의 짐바브웨 민간인을 학살했습니다.

짐바브웨는 옛날 상대적으로 부유한 나라였지만, 지난 30년 동안 정권을 잡은 독재자 로버트 무가베가 짐바브웨를 공산주의 국가로 만들려다 경제를 완전히 망쳐놓고 말았습니다. 짐바브웨는 독재자를 반대하는 사람들을 고문하고 죽이며 아프리카 나라중 정치 탄압과 인권 유린이 가장 심하며 많은 사람들은 먹을 것이 없어 남아공과 같은 이웃나라로 피난을 갔습니다.

저는 남한에 유학하면서 많은 아프리카출신 유학생들을 친구로 사귀었고, 또 미국국제개발처 (USAID)나 세계은행 (World Bank) 국제개발상담 (international development consulting) 일을 하면서 동부와 남부 아프리카 출장으로 아프리카 사람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 때마다 그들에게 가장 흥미로운 주제는 북한에서 '로므니아'라 불리는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독재 유산, 독재자이던 니콜라에 차우체스쿠와 루마니아의 전환기, 자유민주주의로 향하는 과정이었습니다.

냉전시대에 동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은 아프리카인들과 가까운 관계를 맺었습니다.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인권 유린과 식량 부족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니콜라에 차우체스쿠의 공산주의 정부는 아프리카의 신생독립국가들에게 많은 자금을 주었습니다.

이유는 굳이 아프리카인들의 복지를 위해 그런 것이 아니라, 독재자의 이미지를 외국에 선전하기위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루마니아로부터 받은 돈은 일반 아프리카인들에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주로 짐바브웨의 독재자이던 로버트 무가베나 부르키나파소의 토마스 산카라, 잠비아의 케네스 카운다의 은행 통장으로 들어가는 것이었습니다.

루마니아에서 많은 아프리카 학생들은 루마니아 사람과 결혼해 루마니아가 개방된 후 의사, 공학자나 사업가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루마니아에서 유학한 아프리카인들 중 상당수는 본국으로 돌아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이를테면, 잠비아의 경우 공무원들 중 30%정도가 루마니아 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입니다. 저는 짐바브웨, 코트디부아르, 잠비아와 탄자니아등의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 루마니아의 역사와 반공산주의 혁명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들의 말로는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지기 전 루마니아에 감탄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주로 세 가지입니다. 첫째, 공산주의 시대에 루마니아는 독립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외국 은행과 국제금융기구 (IMF)로부터 빌린 돈을 모두 갚았습니다 둘째, 정부는 루마니아의 도시를 현대화시켰습니다 셋째, 아프리카인들이 제국주의로부터 개방되려고 독립운동을 하는데 루마니아가 많이 도와 주었다고 합니다.

또 저의 아프리카 친구들은 루마니아에서 왜 반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났는지, 루마니아의 독재자와 그의 아내가 왜 사형을 당했는지 루마니아의 혁명이 일어난 1989년 말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에게서 루마니아 공산주의 유산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후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선,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와 독재자는 자유 투표를 통해 루마니아 사람들에게 직접 권한을 위임받은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루마니아의 외교 정책도 독재자의 개인 견해에 좌지우지됐습니다. 사실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식량 부족때문에 고생하고 있었는데, 루마니아의 부족한 식량과 외화를 다른 도상개발국으로 보내는 것에 원망을 했습니다.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는 루마니아산 곡식과 식품을 대부분 수출하면서, 국민을 굶기며 외채를 갚았습니다. 사실 외채를 갚는 것보다 외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외채를 갚기위해 국민을 굶겼다는 것은 루마니아 사람들에게 아직까지도 용서받을 수 없는 크나큰 죄입니다.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는 평양처럼 관중들이 모여 독재자를 숭배할 수 있는 대광장과 커다란 건물을 건설하기 위해 루마니아 수도 부카레스트 구도시를 불도저로 밀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500년이나 된 궁전, 교회, 수도원이나 묘지를 파괴시키는 것은 진보가 아니라, 야만스러운 범죄입니다. 루마니아의 역사는 전통 건축을 파괴시킨 차우체스쿠를 영원히 용서하지 못할 것입니다.

공산주의 시대에 루마니아 정부가 아프리카인들의 독립운동을 도와줬다는 것도 사실 신생독립국들을 공산주의 국가로 변화시키려고 그랬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정책은 사실 공산주의 제국이던 소련으로부터 내려온 명령이었습니다.

저의 모든 아프리카 친구들은 이젠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과거를 제대로 이해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루마니아의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으로 향하는 전환기와 개혁 정책을 지난 20년동안 꾸준히 지켜 왔습니다. 그들은 이제 루마니아 사람들이 왜 공산주의 체제를 무너뜨렸는지 확실히 이해합니다. 그리고 루마니아에서 유학한 아프리카인들은 루마니아의 교훈을 보고 아프리카의 자유 시장과 민주주의로 향하는 길을 확실히 선택하려고 합니다.

1970년대 북한은 아프리카 나라들을 지원하면서 북한의 주체사상을 아프리카로 전파하려 했지만, 그당시 아프리카 사람들은 주체 사상에 대해 관심도, 아는 것도 없었습니다. 북한은 1980년대초 짐바브웨 주민들 학살에 참여하면서 로버트 무가브웨와 같은 독재자들의 정권을 유지하는 데 종사했습니다. 자유, 개혁과 개방을 요구하는 짐바브웨 사람들이 자국을 망쳐버린 독재자 무가베 정권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 북한 정부의 역할을 부정적으로 생각할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