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코프] 북한의 산도 푸르러질 수 있을까?
2024.08.08
8월 10일은 북한의 임업노동자절입니다. 김일성 시대부터 북한 지도자들은 임업 개발 필요성을 강조해 왔습니다. 그러나 북한을 방문한 사람, 또 북한의 위성사진을 한 번이라도 본 사람은 잘 아는 바와 같이, 북한은 여전히 민둥산의 나라로 남아 있습니다.
이웃 국가들, 중국과 남한을 비교하면 차이점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저는 북중 국경 지대를 자주 방문했는데 그때마다 중국의 산과 북한의 산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중국 산은 나무가 무성하고, 북한 산은 나무가 없기 때문입니다.
흥미롭게도 남한 역시 민둥산이 매우 많았는데요. 1960년대 남한은 매우 강력한 식목 정책을 추진했고, 그 결과 오늘날 남한에서 민둥산을 찾기는 거의 불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수령님, 장군님, 원수님의 거듭된 나무심기 지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둥산으로 남아있습니다.
기본 이유는 경제입니다. 세계적으로 북한과 비슷한 소득수준의 나라, 즉 가난한 국가들은 대부분이 민둥산의 나라이고 숲이 거의 없습니다. 노동력을 동원해 나무는 심을 수 있지만 살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예산을 투자해야 합니다.
하지만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려운 경제 상황이 초래한 사회 문제들입니다. 가난한 나라에서 평백성들은 숲으로 바꿀 수 있는 지역을 농사가 가능한 지역으로 여깁니다. 그들은 당연히 나무심기를 환영하지 않습니다.
북한도 좋은 사례입니다. 북한 농업이 만성적 위기에 빠진 1980년대부터 농민들은 산으로 올라가서 소토지 아니면 뙈기밭으로 알려진 개인 밭을 일구기 시작했습니다.
북한 당국자들은 개인 밭개발을 불법 행위로 규정하지만 가로막을 능력도, 의지도 없습니다. 중국과 달리 여전히 효율성 없는 협동농장 방식을 고수하는 북한에서 개인 밭 농사를 포기한다는 건 생사가 달린 문제입니다.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는 북한 당국자들은 개인 농사를 묵인할 수밖에 없습니다.
북한 당국이 진짜 소토지를 금지한다고 해도, 농민들은 살기 위해 소토지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숨길 방법을 찾을 겁니다.
그러나 소토지가 있는 산을 푸르게 만들 수는 없습니다. 소토지 주인들에게 농사를 짓지 못하도록 하는 나무는 위험한 장애물에 지나지 않습니다.
물론 숲이 없는 산은 자연재해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큰물 피해가 생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농민들은 이 사실을 알아도, 소토지 농사를 포기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있을까요? 답은 경제 발전입니다. 동시에 중국처럼 토지 개혁을 하고 농민들에게 땅에 대한 소유권이 아닌 이용권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북한 산을 푸르게 만들 수 있는 결정은 북한 당국에 달린 것인데요, 안타깝게도 오늘날 북한의 상황을 감안하면 가능성이 크지 않아 보입니다.
*이 칼럼 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한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