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상원의 샘 브라운백 의원은 10일 난민지위가 인정된 탈북자 6명의 첫 미국 입국을 계기로 중국도 탈북난민들에게 피난처를 얻을 수 있는 정규적인 절차를 제공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2004년에 발효된 미국의 북한인권법을 공동발의한 브라운백 의원은 이날 상원의원 건물 옆 야외공원에서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그는 미국이 지난 주말 사상처음으로 6명의 탈북자들을 난민으로 받아들인 것과 관련해, 주변국들, 특히 중국이 자극을 받아 중국 내에 있는 수천 명의 탈북난민들에게 피난처를 얻을 수 있는 정규적인 절차를 제공하고 난민들에게 희망을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Sam Brownback: this act of compassion will spur other nations, especially China, to beg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gularized process for giving shelter and hope to thousands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are currently in China.
이를 위해 중국은 최우선적으로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 등과 같은 국제기구들이 중국과 북한의 접경지대에 접근해 탈북자들의 상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중국은 지금이라도 국제난민협약을 준수해, 북한에 돌아가면 박해받을 탈북자들에게 적절한 보호와 피난처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Sam Brownback: And China must allow international agencies, such as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whom I spoke with last week, who was meeting with the Chinese. They need to allow UNHCR to access the situation along the Chinese border with North Korea.
브라운백 의원은 만일 중국이 계속해서 탈북자를 강제로 북송할 경우, 미국은 이를 저지하기 위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중국에 압력을 가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그 예로, 미국이 자체 내 법을 제정하거나 유엔 차원에서 중국에 제재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am Brownback: I'm for any pressure that we can bring on the Chinese to do what they have signed to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treaties that they have entered into. if it's US legislation, if sanctioning is raised at United Nations level, we need to do it.
북한과 관련해, 브라운백 의원은 과거 구 동구권의 인권개선을 위해 인권 의제를 부각시켰던 ‘헬싱키 선언’과 같은 방향으로 미국의 대북 정책이 기울고 있다면서 북한과의 대화에서 미국정부는 북한의 인권문제를 협상테이블에 포함시키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Sam Brownback: ..there has been a shift in our discussion to include a Helsinki type of process on North Korea. And I do think you're seeing that now start to elevate human rights discussion with North Korea.
그는 지난 5일 미국행에 성공한 탈북자 6명의 소재는 밝히지 않았지만, 이날 아침 직접 전화통화를 통해 이들이 모두 활기차며, 미국에서 새 삶을 시작할 꿈에 젖어있었다고 전했습니다.
Sam Brownback: I said to them, "Welcome to America." They are ready to begin a life anew, a life of freedom, a life of pursuing what they seek to do with their own lives...
한편, 브라운백 의원은 이번일이 성사된 데에 특별히 조시 부시 미국 대통령과 제이 레프코위츠 북한 인권특사, 마이클 호로위츠 허드슨 연구소 연구원에 감사표시를 했습니다. 또한 수잔 숄티 디펜스 포럼 대표와 데보라 파이크스 미드랜드 교계연합회 사무총장 등에게도 고마움을 표시했습니다.
워싱턴-장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