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절'까지 특별경비기간 주민 이동통제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지난 1월1일 선포한 특별경비기간을 해제하지 않고 오는 4월말까지 지속한다고 밝혀 주민 생계활동에 지장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광명성절(2월16일)에 이어 태양절(4월15일) 행사 때까지 특별경비기간으로 정해놓고 주민이동을 통제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2일 “올해 1월1일 선포된 특별경비기간이 4월말까지 계속되면서 주민들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특히 생계를 위해 장사를 해야하는 가두여성들이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1월에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와 정치국 회의가 연이어 개최되면서 특별경비주간이 선포되었다”면서 “당초 경비기간이 언제 끝날지 밝히지 않았던 당국이 특별경비기간을 광명성절 80돌에 이어 태양절 110돌을 지난 4월말까지로 정하면서 주민들에 대한 검문검색이 무차별적으로 벌어지고 있다”고 증언했습니다.

과거에는 관련 특별경비주간이 기껏 2주 정도였지만 올해는 광명성절과 태양절 정주년을 이유로 4개월간 특별경비기간이 설정됐다는 설명입니다.

소식통은 또 “단속반으로 인해 청진시내 분위기는 살벌하다”면서 “안전부와 보위부, 경무부 단속인력이 시내 곳곳에 진을 치고 있는데다 여맹원과 대학생, 노동자로 구성된 규찰대와 인민반 자치순찰대까지 단속 인원이 너무 많아 한 발자국도 편히 다닐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며칠 전 포항구역에서 수남구역에 갈 일이 있어 걸어가는데 도로에서 네 차례나 단속을 당했다”면서 “중요한 길목마다 안전원과 규찰대가 늘어서 길거리 행인들의 공민증과 손전화, 손짐(가방), 심지어는 주머니속 소지품까지 일일이 꺼내서 확인하고서야 통과시켜주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어두운 밤이 되면 시내 분위기는 공포감이 들 정도로 살벌하다”면서 “가로등불빛도 없는 캄캄한 거리에서 단속을 피해 달아나는 주민들을 쫓아가는 단속성원들의 요란한 호각소리가 공포감을 조성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3일 “요즘 4월말까지 네 달간에 걸친 특별경비기간이 정해지고 나서 신의주시 주민들은 밤에는 거의 외출을 할 수 없다”면서 “광명성절 80주년(2월16일)과 태양절 110주년(4월15일)을 앞두고 단속을 강화하라는 지시가 지역 사법기관들에 하달되었기 때문”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한낮에 길에서 자동보총으로 무장한 경무원(헌병)들이 지나가는 군인들을 세워놓고 단속하는 현장을 쉽게 볼 수 있다”면서 “그 외에 건널목이나 교차로 등 중요한 길목에서 사법기관 단속성원과 여러 형태의 규찰대들이 주민들을 단속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길거리단속은 2월 광명성절이 가까워 오면서 더 심해졌다”면서 “단속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데다 사소한 것도 시비를 삼아 사법기관에 넘기는 바람에 주민들은 밤에는 물론 낮에도 외출을 꺼리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겨울철 식량난을 겪고 있는 주민들은 장마당에 나가 장사를 해야 식량을 살 수 있는데 당국의 삼엄한 경비로 인해 외출이 제한되고 있어 생계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김지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