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외환거래 가능한 지방은행 설립

앵커 : 북한이 지금까지는 평양 조선합영은행에서만 가능했던 외국과의 외환거래를 할 수 있는 지방은행을 지방도시에 처음으로 개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그동안 북한과 외국회사간의 국제 외환거래는 평양의 ‘조선합영은행’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따라서 북한 지방도시 소재의 외화벌이 기관들은 외국과의 외국환 거래 때마다 불편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27일 “청진에 있는 ‘청진국제호텔’에 중국 등 외국과의 금융거래가 가능한 국제은행창구가 개설됐다”며 “평양의 ‘합영은행’을 모체로 외국과의 금융거래가 가능한 지방은행을 개설한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1990년대 초에는 평양에 국제송금이 가능한 ‘무역은행’과 ‘합영은행’이 있었으나 일본 조총련계 교포들이 보내는 송금이 교포가족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면서 무역은행을 합영은행에 통폐합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한때 일본 오사카에 있는 ‘조선신용은행’에서 북한의 교포들에 보내는 개인송금은 몇백만 엔에 이르기도 했지만 북한당국은 국가경제가 어렵다는 이유로 교포들에게 전체 액수의 10분의1만 지급하고 나머지는 모두 분기별로 나눠 돈표(외화 교환권)로 지급해 왔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1990년대 중반이후에는 국가에 돈이 없다며 분기별로 지급하던 돈표마저 끊어버리고 개인송금을 돌려주지 않아 많게는 500만 엔의 거액을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한 교포가족이 평양의 ‘합영은행’을 찾아 통곡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당국은 이 같은 수법으로 인민들의 해외송금을 가로채고도 모자라 수수료 명목으로 송금액의 10분의 1을 추가로 징수하는 등 국가금융기관으로서의 신뢰를 완전히 저버렸고 그 후 일본과 미국교포들은 북한은행으로의 송금을 극도로 꺼렸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28일 “국가은행의 신용이 땅에 떨어져 최근에는 일본과 미국으로 부터 개인송금이 전무한 상태”라면서 “이런 분위기를 개선하고자 외환거래가 가능한 지방 은행창구를 개설해 외화벌이기관이 중국에서 벌어들인 돈을 끌어들이려는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최근 남한의 한 언론에서도 북한 매체를 인용해 북한이 각 도청소재지마다 지방은행을 설립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소식통들은 최근 설립하고 있는 북한의 지방은행은 청진국제호텔에 개설된 외환거래가 가능한 은행과는 달리 외환거래를 할 수 없는 일반은행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들은 “북·중 국경 초소(해관)에서는 현금으로 인민폐 1천 위안 이상은 소지할 수 없지만 은행창구를 이용하면 수십, 수백만 위안의 거액도 움직일 수 있다”며 다만 은행창구를 이용한 해외송금은 주로 북한 외화벌이 기관과 개인무역업자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