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노스 “북 식량부족, 1990년 대기근 이후 최악”

서울-한도형 hando@rfa.org
2023.01.20
38노스 “북 식량부족, 1990년 대기근 이후 최악” 한 북한 농부가 옥수수 낫알을 뜯어내고 있다.
/REUTERS

앵커: 북한의 식량부족 상황이 1990년대 대기근 이후 최악이라는 평가가 다시 한 번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현지시간으로 19일 북한의 식량부족 상황이 1990년대 대기근 이후 최악이라고 진단했습니다.

 

38노스는 식량농업기구(FAQ), 세계식량계획(WFP), 데일리NK 자료 등 북한의 식량 가격과 식량 재고량 관련 각종 자료들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지난해 8월 북한의 식량 가용성이 최소 수준으로 추락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1990년대 대기근으로 60만 명에서 최대 100만 명의 주민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당시 북한 인구 3~5%에 해당합니다.

 

38노스는 북한이 식량불안 등 인도주의적 비상사태를 겪고 있으며 코로나에 대응해 국경을 봉쇄하기로 한 북한 정권의 선택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의 쌀과 대체재인 옥수수 가격이 급등했으며 이중 옥수수 가격의 오름폭이 더 컸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쌀, 옥수수의 가격 차이가 2021 3월부터 크게 벌어졌는데 이는 북한의 식량 공급망이 와해되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 당국의 코로나 봉쇄로 국내 이동이 제한되며 도시별 식량 가격의 변동성이 커진 것 역시 식량 불안정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분석했습니다.

 

38노스는 북한의 식량사정이 불안정했던 것은 만성적인 일이며 분석의 시작점인 2009년 이후 북한의 곡물가는 국제 곡물가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고 덧붙였습니다.

 

마지막으로 38노스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곡물ㆍ비료 가격이 급등한 것이 북한에게 악영향을 미쳤으며 중국이 코로나 봉쇄 정책을 포기한 것도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져 향후 북한의 식량상황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북한의 식량부족 상황이 1990년대 대기근 이후 최악의 수준이라는 진단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마커스 놀랜드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부소장은 지난해 12월 자유아시아방송(RFA)현재 북한의 식량상황은 매우 취약하다 “1990년대 대기근 이후 최악의 수준이라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또 “상당량의 곡물이 중국에서 수입되면 상황이 완화될 수 있지만 앞으로의 전망은 불투명하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는 같은 달 작물 전망과 식량 상황’(Crop Prospects and Food Situation-No.4) 보고서에서 북한을 외부 지원이 필요한 45개 나라에 포함시키며 북한의 식량안보 상황이 여전히 취약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의 대다수 주민이 낮은 수준의 식량 섭취로 고통 받고 있다고 밝혔고 “2022년 평균 이하의 농업 생산량으로 인해 악화된 경제적 제약을 고려할 때 북한의 식량안보 상황은 계속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

 

같은 달 한국의 농촌진흥청은 '2022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보고서에서 2021년 북한이 김정은 집권 이후 최악의 식량난을 겪은 이후 증산에 주력했지만 비료 부족, 가뭄 등의 이유로 2022년 수확량(451t)은 오히려 전년 대비 3.8%, 18t 감소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북한 관영매체는 지난 8일 식량문제는 국가중대사라며 먹는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11일에는 올해 경제 분야의 12개 중요고지 중 첫 번째로 꼽은 알곡 증산을 위해 토지개량사업에 힘을 쏟을 것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이 올해도 식량 생산량 증가에 주력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김갑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특히 청년들의 강제 동원이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10일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가 주최한 통일전략포럼에서북한이 농촌건설, 식량생산 증대에 필요한 노동력을 사실상 강제 동원하기 위해 노동당의 기층조직인 당세포, 인민반을 통한 독려를 강화할 것 같다며 강제 노동동원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 이 자리에 참석한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식량문제를 비롯한 농촌문제 해결을 위해 중앙집권적 통제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기자 한도형, 에디터 오중석, 웹팀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