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라 의원 “미, 북 요청 시 백신 지원 고려할 것”

0:00 / 0:00

앵커 : 미국 연방하원 외교위원회 산하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장인 아미 베라(Ami Bera) 의원은 북한의 요청이 있을 경우 미국 정부가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백신 지원을 고려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6일부터 한국을 방문 중인 미 의회 한국연구모임(CSGK) 하원의원 대표단.

한국연구모임의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 아미 베라 의원은 7일 서울에서 열린 한국 내 언론 대상 간담회에서 북한에 대한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백신 지원이 대화의 문을 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조 바이든 대통령은 백신 외교에 대한 신념이 있다고 말하며 북한의 요청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의지와 개방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의사 출신인 베라 의원은 신형 코로나 관련 북한 내부 사정에 대해 정확히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좋지 않은 상황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신형 코로나를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전 세계가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며 북한 주민들도 예외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계 영 김 미국 연방 하원의원 또한 북한이 요청한다면 미국은 할 수 있는 일을 할 것이라 생각한다면서도 미국이 도우려면 북한이 진심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작은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바이든 행정부는 2017년부터 공석인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자리를 조속히 채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영 김 의원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부터 북한인권특사 임명과 북한인권 문제 논의를 거듭 촉구해왔습니다.

영 김 미국 연방 하원의원 (지난 5월 26일 아틀란틱카운슬 주최 '한미전략대화'):바이든 대통령이 대북특별대표를 임명한 것은 환영하지만 저는 북한 인권 문제에서도 진전을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는 핵 야망을 포기할 의사가 없는 북한에 압박을 지속하기에 좋은 협상 지렛대입니다.

미 하원에 발의돼 있는 미북 이산가족 상봉 법안에 대해선 이번 회기 안에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며 지금까지 상봉에 참여하지 못한 한국계 미국인이 약 10만명에 이른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북핵 등 역내 현안 해결을 위해서는 한미일 3국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베라 의원과 김 의원을 포함한 대표단 소속 의원 8명은 이날 최종건 한국 외교부 제1차관, 서욱한국 국방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등 한국 정부 인사들과 연달아 회동하고 한미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최종건 제1차관이 대표단과 오찬을 갖고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미국 의회의 적극적 지원을 당부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국방부에 따르면 서욱 장관도 이날 오후 대표단과의 면담에서 한미동맹의 지평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이에 대해 대표단은 지난 5월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동맹이 백신공급망 구축, 기후변화, 첨단기술협력, 연구개발, 사이버안보협력 등의 분야로 협력범위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미 의회의 초당적 지지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대표단은 한국 조야 인사들과의 면담 등 일정을 소화한 후 오는 11일 출국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