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대북지원 제약으로 지난해 지원금 제공 안해”

워싱턴-지정은 jij@rfa.org
2022.01.07
아일랜드 “대북지원 제약으로 지난해 지원금 제공 안해” 남포의 한 고아원에서 어린이들이 WFP가 제공하는 간식을 먹고 있다.
/REUTERS

앵커: 지난해 대북 지원에 대한 제약 때문에 아일랜드가 국제 단체를 통해 대북 지원금을 제공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불가리아는 현재 대북지원 계획이 없다고도 전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7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의 재정확인서비스(FTS)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모금됐거나 약정된 대북지원금은 미화 약 1천570만($15,665,295) 달러로, 그 전년도인 2020년도 총 지원금인 4천여만($40,315,610) 달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2011년 이후 매년 약 3~4천만 달러대를 유지했던 대북 지원 모금액이 크게 감소한 것입니다.


이는 당초 대북 지원금을 제공했던 일부 국가 및 단체 등이 최근 몇년 새 자금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일랜드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지난해 대북 지원자금을 제공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지원 기금은 전 세계에서 가장 긴급한 필요를 충족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현재 OCHA의 인도적 대응계획(HRP)에 북한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대변인은 “아일랜드의 대북 지원은 중단되지 않았다”면서도 “2019년 이후 아일랜드 외교부 개발협력국(Irish Aid)은 북한에 어떠한 자금도 제공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There is no suspension of Irish support to DPRK however Irish Aid has not provided any funding to North Korea since 2019, as funding is prioritised to meet the most pressing needs worldwide and DPRK does not currently have an OCHA Humanitarian Response Plan (HRP).)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은 지난해 12월 ‘2022년도 세계 인도주의지원 보고서’를 발표하며 2021년에 이어 북한을 2년 연속 지원 대상국에서 제외했습니다.


북한의 국경봉쇄 등 방역 조치로 모든 유엔기구 사무소 직원들이 북한을 떠나 현장실사와 사업 실행을 위한 관리·감독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아일랜드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018년과 2019년에는 아일랜드 외교부 개발협력국이 대북 지원을 위해 아일랜드의 국제인도주의단체 ‘컨선월드와이드’ 에 10만 유로를 제공했다며 “2019년에 북한에 50만 유로 상당의 개발 자금도 제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In 2018 and 2019, Irish Aid’s Humanitarian Unit provided funding of €100,000 each year to Concern Worldwide for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DPRK. Additionally, Irish Aid provided development funding to the DPRK worth €500,000 in 2019.)


지난해 대북 지원자금을 제공하지 않은 불가리아 외교부 측 역시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현재로서는 새로운 대북 지원 계획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No new aid is planned for the DPRK at this stage.)


이어 불가리아가 2019년과 2020년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제공한 “5천 유로 상당의 (자금은) 북한의 심각한 식량 위기를 해결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며 특히 코로나19, 즉 코로나 비루스 확산으로 북한의 식량 상황이 악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amount of 5,000 euros was targeted to address the severe food crisis in the country, subsequently exacerbated by the spreading pandemic of COVID-19.)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유엔의 대북 지원사업이 재개되기 위해서는 북한에서의 현장 검증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미 북한인권위원회(HRNK)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의 말입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현장 조사를 통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북한에서 지원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접근성과 투명성은 필수입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 정부 차원의 대북지원 계획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북한과 같은 정부와 의견이 다르더라도, 우리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Even where we disagree with a government like the DPRK, we must work to the best of our ability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eople.)


그러면서 “미국 정부가 가장 어려운 북한 주민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 참여하고 있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서 전 세계 기관들의 대북제재 면제 승인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OCHA의 재정확인서비스 홈페이지에 따르면 미국 정부 차원의 대북 지원은 지난 2017년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을 통해 마지막으로 이뤄졌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