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채권, 대북 제재로 수 년째 거래 중단”

워싱턴-양희정 yangh@rfa,org
2017.08.17
london_stock_exchange_b 영국 런던의 한 증권 거래 중개인이 증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AFP PHOTO

한반도 긴장 국면에 따라 가격 변동을 보였던 북한의 국채가 최근 몇 년간 거래되지 않고 있다고 영국의 금융중개회사 ‘이그조틱스 사(Exotix Limited)’의 스튜어트 컬버하우스(Stuart Culverhouse) 수석경제분석가가 1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컬버하우스 씨는 최근 미국과 북한 간 이른바 ‘말의 전쟁’ 등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북미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북한 채권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채권을 내다 팔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2013년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따른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로 수 년간 사실상 동결되다시피 한 북한 채권 시장은 여전히 거래가 없어 가격을 알 수 없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컬버하우스 씨는 대북제재 결의들의 문구가 모호해 북한의 채권 거래를 금지하는지 확실히 알기 어렵지만 투자자들은 대북 제재를 위반해 후회하느니 미리 조심하는 편이 낫다는 생각에 채권을 사려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이미 북한 채권을 보유한 기관이나 개인은 대북 제재가 해제될 때까지 매도할 수 없게 되었지만 이 같은 상태는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컬버하우스 씨는 전망했습니다.

북한은 1970년대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자본주의에서 차관을 도입해 기계 등을 대량 수입하기 시작했는데 1970년대 중반 오일쇼크 즉 유류파동으로 북한의 수출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무역수지 적자가 커졌습니다.

서방 은행 차관단은 1990년 대 채무불이행국이 된 북한의 채권을 발행했고 2000년대부터 2013년까지 북한 채권은 액면가 1달러 당 몇 센트 혹은 몇 십 센트에 거래되었습니다.

북한 채권 거래가는 북한의 핵실험이나 미사일발사 시험,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후 새 지도자에 대한 기대감 등 정치적 변화에 따라 거래 가격에 변동을 보여왔습니다.

투자자들은 액면가의 1/10에서 1/50로 북한 채권을 구입하면, 언젠가 북한이 개혁개방을 통해 국제사회에 복귀하거나 남한 주도의 통일이 이뤄질 경우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북한 채권 구입에 나섰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