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에너지문제, 비핵화와 국제협력으로 해결해야”

워싱턴-홍알벗 honga@rfa.org
2020.01.28
py_thermal_power_b 북한 평양시 낙랑구역에 있는 동평양화력발전소의 내부
연합뉴스 제공

앵커: 국제사회와의 단절이 북한의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불러왔다는 한국 관리의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한국 외교부 기후환경과학 외교국장을 지냈던 권세중 현 외교부 북극협력대표가 북한의 에너지 위기에 대한 조언을 내놨습니다.

권 대표는 최근 ‘북한 에너지, 미래를 위한 협력과 도전’이란 제목의 책을 출간하고 북한의 에너지 위기의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한편, 극복방안도 함께 제시했습니다.

북한의 전력 사용량과 관련해 1990년대 북한의 1인당 전력소비량이 시간당 1천247킬로와트 하던 것이 2016년에는 절반 정도 감소한 시간당 650킬로와트를 기록했으며 현재 남북 간의 전력 소비량의 격차는 30분의 1을 넘고 있다고 권세중 대표는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권세중 대표: 북한이 자체적으로 석탄과 수력(발전)을 개발하지만 특히 석탄 생산만 하더라도 '심부화'가 많이 진행돼서 깊이 더 땅을 파야 하고, 수력도 가뭄이나 산사태가 나면 그것도 발전이 어렵고요. 원자력 발전이 없는 상황이니까, 그런 상황에서 추가적인 자본이나 기술이 투입되지 않는 상황에서 계속 내부적으로만 해 온 거죠.

북한은 에너지 부족은 자연적인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 핵개발을 멈추지 않는 현 정권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거부한 채 내부적으로만 에너지난을 해결하려는 데 문제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권세중 대표: 정치적인, 안보적인 협력 이외에, 소위 말하는 비정치적인 협력, 환경이나 에너지 부문에서 북한은 (국제사회와) 좀 더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특히 재생 에너지라든가 효율적인 에너지, 소위 말하는 순환경제에 부합하는 그리고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부합하는 그런 전략 차원에서 에너지 협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북한이 경제개발도 이루면서 부족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비핵화 실현으로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은 뒤 선진기술과 자본을 받아들이는 방법 밖에 없다고 저자는 강조했습니다.

한편, 북한은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면서 관영매체를 통해 재생 에너지 성공사례를 선전하고 있지만 그 배경에는 만성적인 전력난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화력 및 수력 발전 설비 이용률은 모두 3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