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최근 장마당에서 주민들이 중국 화폐를 사용하지 못하게 강력 단속에 나섰습니다. 낡은 내화 지폐 대신 1000원 짜리 은화 사용도 권장하고 있습니다.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내화 화폐 사용을 강조하는 한편 중국 위안화 사용을 엄격히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사용하다가 걸려든 본인은 물론 소속 집단 전체에 처벌을 가하게 했다는 설명입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지난 30일 “요즘 당국이 주민들에게 내화사용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면서 “외화를 사용하다 걸리면 돈과 물품을 무상몰수하고 이어 소속 집단에도 제재를 가하도록 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현재 당국이 단속하는 외화는 대부분 중국돈으로 미국 달러는 거의 유통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최근 당국이 우리 돈을 사용하라면서 각 은행에 은화까지 풀었다”면서 “대부분의 주민들이 낡고 헐어서 끊어지고 찢어진 우리(북한) 지폐를 잘 사용하지 않자 금속으로 된 돈(1000원 짜리 은화 : 동전)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증언했습니다. (사진참고)
또 “하지만 외화와 바꿔줄 1천 원짜리 은화가 은행에 들어왔다는 소식에도 주민들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기존의 500원, 1,000원 쇠돈 중에서 1,000원에다 은도금을 하였지만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현재 은행에서는 중국 돈 1원(위안)에 내화 1,260원을 환전해 주지만 개인(환전상)은 1,280원에 가능하다”면서 “중국돈 500원(위안)만 교환해도 내화 1만원씩 손해 보는데 큰돈을 바꾸면 그 액수가 상당하기 때문에 국가은행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게다가 은행에서는 환전 당사자의 이름과 주소, 직장, 전화번호, 환전액을 등록하게 해 외화의 출처를 의심받을 수 있다”면서 “이에 나라에서 개인의 은행거래 내역을 문제 삼지 않겠다고 하지만 그걸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1일 “요즘 장마당에서 일체 외화를 사용하지 못하게 통제를 강화했다”면서 “이제는 외화사용에 한한 집단제재 방법까지 내놓고 강제로 내화사용을 유도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동안 외화(주로 위안화)를 자연스럽게 사용하던 장마당에서 이달부터 일체 외화사용을 금지했다”면서 “장마당에서 외화를 사용하다가 걸리면 누구를 막론하고 거래 상품을 무상몰수 당하고 해당 대상의 소속까지 집단으로 제제하도록 밝혔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소식통은 “장마당에는 신발매대, 잡화매대, 공업품 매대, 수산물매대, 식품매대 등 구분되어 있고 그 줄마다 책임진 반장이 있다”면서 “그런데 외화사용을 금지하면서 각 매대를 책임진 반장들에게 책임지고 (이를) 철저히 감시하도록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만약 외화를 사용하다가 걸리면 본인과 그가 앉은 매대 줄의 전체 상품을 몰수하고 한 달 간 장사를 못하게 제재를 가한다고 알려지면서 장사꾼들 스스로 서로를 감시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비슷한 품목의 상품을 파는 매대 한 줄에는 약 30여 명의 장사꾼들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요즘 나라에서 일반 주민들이 중국 돈을 쓰지 못하게 단속하는 이유는 은행에 돈이 들어가지 않아 국가가 무역을 할 수 없기 때문으로 알려졌다”면서 “대부분의 외화가 개인의 손에 있어 국가가 돈(외화)을 유통시킬(국가무역)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나라에서 각 지역의 은행지점에 도금한 은화까지 내놓으며 외화교환을 유도해도 소용없는 짓일 뿐”이라면서 “국가가 외화사용을 강력히 단속하자 돈 많은 장사꾼들과 일부 주민들은 주로 외화를 교환하지 않고 움켜쥐고 기회를 보는 실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