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유엔 총회 제3위원회가 최근 채택한 북한인권 결의안을 비판하는 담화를 거듭 발표한 가운데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는 북한의 인권유린을 우려하는 미국의 입장은 여전하다고 밝혔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 대변인실의 데이비드 웨데마이어(David Wedemeyer)는 23일 매년 반복되는 북한 인권결의안 채택과 이어지는 북한의 비판담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미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지난 17일 제3위원회에서 미국 측 대표가 연설한 내용을 언급하며 당시 발표한 미국의 입장에 더 추가할 내용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당시 미국 측 대표는 북한의 심각한 인권침해 상황은 여전히 끔찍하다며 북한의 외국인 납치 및 강제북송에 대해 우려스럽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측 대표 :우리는 북한 내 인권유린에 대해 여전히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북한 정부가 인권에 대한 존중을 표명하고 정례인권검토(Universal Periodic Review)의 권고 사항 이행을 촉구하며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유엔 특별보고관과 협력할 것을 촉구합니다.
앞서 북한인권 결의안 표결 약 일주일 전, 북한은 리상림 조선-유럽협회 회장 명의로 “최악의 인권기록을 가지고 있는 유럽동맹나라들은 제 할 일부터 해야 한다”며 결의는 “허위날조로 채워진 모략”이라고 비판한 바 있습니다.
이어 결의안이 합의 채택된 후에도 북한의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 21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담화를 내고 북한인권 결의는 북한에 대한 “체질적인 거부감과 편견에 찌든 적대 세력들이 고안해낸 날조자료”라고 재차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옐레나 부이치(Jelena Vujic) 유엔주재 유럽연합(EU) 대표부 대변인실 조정관(coordinator)은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올해 북한인권 결의안에는 “지난해보다 2개국이 늘어난 60개의 국가가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러시아와 중국을 포함해 싱가포르, 쿠바, 베트남(윁남) 등 총 12개 국가가 결의안 투표에서 기권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럼에도 이번 결의안은 북한의 인권 유린 상황에 대해 여전히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결의안 투표 당시 기권했던 싱가포르 및 중국 대표부 측은 북한인권결의안에 대한 추가 입장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23일 오후까지 답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유엔총회 제3위원회를 통과한 북한인권 결의안은 12월 중순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채택여부가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