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인권단체들이 윤석열 한국 대통령에게 오는 17일 유엔(UN)에서 열릴 북한인권 회의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강제송환 문제 등을 의제로 다뤄 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과 미국, 일본, 알바니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요청해 오는 17일 열릴 예정인 북한인권 공개회의.
북한인권시민연합(NKHR),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 북한정의연대 등 14개 북한 인권단체들과 지난 2013년 북한에 억류된 김정욱 선교사의 형 김정삼 씨는 16일 윤석열 한국 대통령에게 보낸 공개서한을 통해 북한 내 국군포로 문제와 납북자 및 억류자 문제, 그리고 탈북민 강제송환 문제 등을 의제로 다뤄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이 문제들을 이번 유엔 회의를 비롯한 여러 국제회의에서 지속적으로 논의하는 한편 빠른 해결을 위한 외교적인 노력도 함께 이어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의 말입니다.
정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북한의 반인도 범죄 문제를 회부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유엔 차원에서 이 같은 의제를 지속적으로 다뤄나갈 수 있도록 한미일 정상회담 등에서도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들은 또 북한 인권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할 수 있도록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러시아의 반대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엔 총회가 연례 북한 인권 결의를 통해 안보리에서 ICC 회부 권고를 반복해 왔음에도 두 나라의 반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전례를 감안해, 필요시 유엔 총회 토의까지 염두에 둔 ICC 회부 시도가 이뤄져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지난해 4월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 76/262호에 따르면 거부권을 행사한 안보리 상임이사국은 총회에서 그 이유를 해명해야 합니다.
이들은 서한에서 국군포로 및 납북자·억류자 문제 의제화를 강조하는 가운데 특히 중국 내 탈북민 강제송환 문제에 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통일준비국민포럼을 비롯한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은 이날도 강제송환 반대를 위한 집회를 진행한 데 이어 주한중국대사관에 공동선언문을 전달했습니다. 강승규 통일준비국민포럼 회장의 말입니다.
강승규 통일준비국민포럼 회장 :중국이 자신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저희가 오늘 이 자리에 섰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선언문을 중국대사관에 제출한 뒤 반드시 관철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밝히는 바입니다.
이들은 선언문을 통해 중국이 구금 중인 탈북민들에 대한 강제북송 계획을 철회하고 유엔 난민기구(UNHCR)와의 접촉을 허용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5개 요구사항을 내놓았습니다.

주한중국대사관에 대한 선언문 전달 뒤에는 서울 유엔인권사무소를 찾아 제임스 히난 소장과의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면담 참석자에 따르면 히난 소장은 이 자리에서 “중국이 탈북민들을 북송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했고, 단체들은 강제송환을 막기 위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습니다.
면담을 마친 참석자들은 한국 외교부에도 탈북민 강제북송 반대 공동선언문을 전달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