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종군위안부를 강제로 동원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해 오던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가 26일 일단 사과를 표명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의회조사국의 래리 닉시 연구원은 아베 총리의 사과는 본질적으로 여전히 불충분하다고 이 날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26일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총리로서 지금 당장 이 자리에서 사과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그러면서 '종군위안부에 대해 동정을 느끼며 그들이 당시 그런 상황에 처하게 된 데 사과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여전히 종군위안부를 강제로 동원한 사실에 대해서는 분명한 인정을 거부했습니다.
아베총리는 또한 일본인 납북자 문제와 종군위안부 문제는 완전히 별개의 사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는 현재도 지속되고 있는 인권침해 사안이지만, 종군위안부 문제는 과거의 문제라고 반박했습니다.
아베 총리의 이런 태도에 대해 미국 정부도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톰 케이시 부대변인은 26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아베 총리의 발언은 일단 사과를 한 데 대해 진일보한 것이라며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케이시 부대변인은 일본이 종군 위안부 문제를 계속 다루길 바라며, 종군 위안부와 관련해 저질러진 범죄의 중대성을 인정하고 솔직한 태도로 임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 미국 의회조사국의 래리 닉쉬 연구원은 26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회견에서 이번 아베 총리의 사과를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닉시 연구원은 최근 종군위안부 문제와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별개의 문제로 분리해야한다는 식의 발언을 한 사실을 감안해 보면, 종군위안부에 대한 아베 총리의 사과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닉시 연구원은 지난 24일자 워싱턴 포스트가 사설을 통해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는 외면하면서도 납북자 문제에 대해선 앞장서 해결을 주장하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데 대해 이는 민주주의 나라 지도자로서의 수치라고 지적한 데 대해 공감을 나타냈습니디. 그러면서 래리 닉시 연구원은 이어 일본인 납북자 문제와 종군 위안부 문제는 완전 별개라는 아베 총리의 발언은 문제가 있다면서, 이런 식의 태도는 일본이 납북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도덕적 근거를 잃어버릴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Niksch: (So I thought that way particularly really ought to be a wakeup call for Japanese government. It's going to lose support in the US on kidnapping issue if it doesn't take the honest...)
"일본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일본 정부가 일본에 의해 자행된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정직하고 진실된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면, 이로 인해 미국 내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한 지지를 잃게 될 것 같습니다."
한편, 일본계 미국인인 마이클 혼다 연방의원이 지난 1월 하원에 제출한 종군위안부 결의안에 26일 현재까지 지지서명을 한 의원은 전체 하원의원 435명 가운데 69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종군위안부 결의안은 구속력은 없지만 미 의회를 통과할 경우 이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주는 상징적인 신호는 무척 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종군위안부 결의안은 일본 정부가 2차대전 당시 강제로 동원한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사과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워싱턴-김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