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10명 중 8명 “북한 가족 생사확인 못해”

0:00 / 0:00

앵커: 한국 또는 해외 거주 이산가족 10명 중 8명가량은 아직까지 북한 내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는 9일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한국 또는 해외 거주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 중 생존자 4만7천4명(한국 4만5천850명, 해외 1천15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제3차 남북이산가족 실태조사’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전수조사 대상자 중 표본으로 선정돼 심층조사에 응한 5천354명의 약 82%는 아직까지 북한 내 가족의 생사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내 가족의 생사 여부를 확인했다고 답한 나머지 18%의 응답자들 중 약 51%는 민간교류 주선단체나 개인에게 의뢰했고 약 24%는 당국 차원의 교류 대상자로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산가족 관련 가장 시급한 정책에 대해선 응답자의 약 66%가 전면적 생사 확인과 사망 시 통보 제도 추진을 꼽았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29.6%), 남북 간 서신교환 제도 마련(25.8%), 추석 등 특별한 시기에 정기적 고향 방문 추진(18.5%)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심구섭 이산가족협회 회장은 이산가족들이 중국 등 제3국을 통해 서신을 교환하거나 물품을 전달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이마저도 어려워졌다고 전했습니다.

심구섭 이산가족협회 회장: 신형 코로나 사태 때문에 (민간 차원의 교류가) 거의 마비됐습니다. 중국을 통해서 대부분 교류하는데 북한에서 국경을 다 폐쇄해놨기 때문에 잘 안 됩니다.

실향민 이산가족 응답자의 약 83%는 향후 고향 방문 의사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약 65%는 고향이 속한 시∙도가 아닌 다른 북한 지역도 방문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부모 혹은 조부모의 이산가족 문제 해결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71%가 꼭 해결되어야 한다, 27%가 가능한 해결되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또 자손 세대 간 교류를 희망한다는 이산가족 1세대 응답자의 비율은 54%에 그쳤지만 2,3세대 중 이같이 답한 비율은 91%에 달해 자손 세대 간 교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정치∙군사적 상황과 관계 없이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 차원의 교류와 협력은 일관되게 추진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습니다. 다만 북한은 이에 호응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남북 당국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18년 8월을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교류 역시 신형 코로나 사태를 기점으로 사실상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9년 민간 차원의 생사 확인 2건, 서신 교환 16건, 상봉 1건이 이루어졌지만 신형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 2020년에는 서신 교환 4건만이 성사됐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민간 차원의 교류도 전무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난달 30일 기준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총 13만3천596명이며 이 가운데 생존자는 4만6천488명으로 약 35%에 불과합니다. 생존자의 대부분은 고령으로 90대 이상은 27%, 80대는 39% 입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