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호의 모바일 북한] 중국의 모바일 머니

0:00 / 0:00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김연호입니다. ‘모바일 북한’, 오늘은 중국의 모바일 머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모바일 머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서 아프리카 케냐의 엠페사를 소개해 드린 거 기억하시나요. 은행 계좌를 갖고 있는 사람이 별로 없고, 은행 지점도 많지 않은 케냐에서 엠페사라는 모바일 머니가 도입되면서 경제 단번도약에 큰 도움을 얻었습니다. 손전화가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가능했던 건데요, 북한의 입장에서 보면 남의 얘기 같지 않아 보일 겁니다.

그런데 이런 얘기를 중국 학자들과 해 보면, 굳이 아프리카까지 갈 이유가 있느냐, 중국의 사례를 보면 되지 않느냐. 이런 반응을 보입니다. 사실 중국과 북한의 손전화 인연은 상당히 깊습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1년 중국 상하이의 푸동지구를 방문했을 때, 중국의 엄청난 정보통신 산업발전에 충격을 받았다고 하죠. 그래서 1년 뒤 김일성 주석의 90회 생일까지 북한에도 손전화를 개통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물론 김정일 위원장이 원했던 속도대로 이뤄지지는 않았지만 북한도 손전화 사용자 수가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그리고 고려링크의 장비와 기술도 중국 손전화 회사 화웨이에서 대부분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북한에서 팔고 있는 손전화도 중국산이 대부분이구요.

중국 전문가들은 북한의 손전화 요금충전 방식도 중국의 방식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북한이 모바일 머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면 결국 기술과 장비를 중국에 기대지 않겠냐는 관측도 합니다.

사실 모바일 머니에 관한한 중국은 아프리카 케냐를 훨씬 뛰어 넘습니다. 13억 인구의 중국이 갖고 있는 잠재력이 폭발하고 있는 겁니다. 중국도 손전화 보급률이 2018년에 114%를 기록했고 지능형 손전화, 스마트 폰도 중국 사람10명 가운데 7명이나 갖고 있을 정도입니다. 손전화로 택시비와 물건값을 내고, 송금도 하고, 대출도 받는 모바일 머니가 중국에서도 급속하게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된 거죠.

중국 사람들도 전에는 북한과 마찬가지로 은행을 통하기 보다는 현금 거래를 더 선호했습니다. 전자결제도 나래카드나 전성카드 같은 직불카드가 널리 쓰였습니다. 개인의 신용을 믿고 외상으로 먼저 결제하는 신용카드는 설 자리가 없었습니다. 이런 특성을 모바일 머니 회사들이 파고든 것이죠.

중국에서 모바일 머니가 큰 관심을 끈 계기는 세뱃돈이었습니다. 중국도 설날, 춘절에 세뱃돈을 주는데, 이걸 손전화로 보내는 상품이 나오면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기차로 며칠씩 가야하는 거리에 있는 친척에게 손전화로 즉석에서 세뱃돈을 보낼 수 있다는 게 신기했던 거죠. 모바일 머니의 이런 편리함이 알려지면서 중국 시장은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데요, 손전화 전자결제는 이미 생활 속에 자리 잡았고, 서비스 종류도 계속 늘고 있습니다. 손전화로 택시를 미리 부르는 예약 기능과 같은 회사의 모마일 머니를 쓰는 사람들끼리 공유하는 단체 대화방 기능이 눈에 띕니다. 음식 배달도 손전화로 주문해서 결제까지 합니다. 한마디로 손전화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일 대부분을 해결하고 있는 겁니다.

중국에는 여러 회사가 모바일 머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알리페이가 가장 유명합니다. 2014년에 처음 선을 보인 뒤에 성장을 거듭하면서 전체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고, 매달 5억 명이 알리페이를 쓰고 있습니다. 2017년 중국에서 모바일 머니로 결제된 금액은 모두 3조 달러나 됩니다. 시장 규모가 엄청나죠. 중국 관광객들을 주요 고객으로 삼고 있는 한국 백화점과 상점들에서도 알리페이를 받고 있을 정도입니다.

그 많은 중국 사람들이 모바일 머니를 손전화에 충전하면 알리페이 입장에서는 엄청난 돈을 미리 끌어서 쓸 수 있는 잇점이 있습니다. 가입자들의 성별, 나이, 지역에 따라 어떤 물건과 서비스가 얼마나 팔리는지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빅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겁니다. 하지만 여전히 통제사회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중국에서 이런 정보가 국민들에게 좋은 결과만 가져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우려하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북한의 선행 사례로 중국의 모바일 머니를 눈여겨 봐야할 이유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청취자 여러분, 다음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