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중 간 국제열차를 통한 택배사업이 시작된지 1년이 지났지만 국제택배의 이용률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왜 그런지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중간 국제택배는 신의주와 평양에서만 물건을 받을 수 있는 지역적인 한계가 있지만 택배운임이 kg당 3위안으로 그리 비싸지 않은데다 소화물 겉 포장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이름과 전화번호만 분명하게 적으면 간단하게 짐을 부칠 수 있는 아주 편리한 제도입니다.
중국을 드나들며 장사를 하는 평양 거주 화교 류 모씨는 "나도 국제열차 택배를 이용해 집에 있는 부모님들에 명절 때면 선물도 보내고 싶지만 이를 이용할 생각을 안 한다"면서 "국제택배로 소화물을 보내면 조선에서 물건을 찾을 때 보통 시끄럽지가 않다"고 말했습니다.
국제택배편으로 물건이 도착해서 물건을 찾으러 가면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세금(관세) 폭탄을 맞게 된다는 겁니다. 소식통은 "이보다 더 시끄러운 것은 물건을 보낸 사람과 어떤 관계인지를 보위당국에 규명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비가 자주 발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런저런 이유 때문에 중국의 북한 무역주재원들과 중국에서 돈벌이 하는 북한 화교들, 그리고 신의주와 평양에 사업체를 두고 있는 중국인들이 국제택배 이용을 기피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양에 친척을 두고 있다는 한 중국 동포(조선족)도 "국제열차 택배를 통해 조선의 친척에게 물건을 보내 주면 참 간편하고 좋을텐데 물건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자칫 평양의 친척에게 오히려 해를 끼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건을 찾는데 턱 없이 높은 관세를 물어야 하기 때문에 친척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되는 데다 보위당국의 감시대상이 되는 등 긁어 부스럼을 만드는 꼴이 된다는 설명입니다.
소식통들은 이런 와중에서도 이따금씩 열차 택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있다면서 평양에 사업체를 둔 중국 기업인들이 북한 대방에게 급하게 샘플을 보내거나 북한의 기관들에서 중국 대방에게 긴급하게 특정 물건을 보내는 경우에 국한되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