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는 북한이 러시아 군인들을 위한 겨울용 군복을 만들어 수출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동향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외교부는 11일 북한이 러시아 군복 제작에 관여하고 있다는 의혹과 관련해 “러시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위반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는 것에 대해 우려를 갖고 있다”며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해 북한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제재 회피를 차단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모든 유엔 회원국들의 충실한 결의 이행을 견인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외교부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가 지난 2017년 9월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 2375호는 의류 임가공을 포함한 북한의 섬유수출을 금지하고 있어, 의혹이 사실이라면 안보리 결의 위반으로 이어집니다.
미국 정부도 현지 시간으로 10일 관련 의혹에 대한 확인은 거부하면서도,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적 도움을 요청했다는 사실을 미국이 밝혀왔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 미국은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적 도움을 요청했다고 밝혀 왔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북한과 러시아가 상당한 양의 무기 제공에 대해 논의했고, 북한은 수백만 개의 탄약을 제3국행 물품으로 은닉해 러시아에 제공하려고 한다며 이는 명백한 제재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외교부도 “무기거래 정황에 대해 우려를 갖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미국 등 주요 우방국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 7일 평양의 한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외화벌이를 위해 한 달 전부터 러시아의 겨울용 군복과 방한화를 만들고 있고,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배치된 군인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외교부는 이날 ‘한반도 클럽’ 소속 주한 대사들을 만나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 대응 등을 막기 위한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면담에서 “최근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 규모, 범위로 군사적 도발을 계속하고 핵·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지속함으로써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 전체에 중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럴 때일수록 국제사회의 북한 비핵화 의지가 북한의 핵 개발 의지보다 강력하다는 것을 북한이 분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단합된 메시지를 발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하면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면서, 북한 핵·미사일 자금원으로 떠오른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해서도 함께 대응하자고 당부했습니다.
이날 모임에는 유럽연합(EU)과 이탈리아, 덴마크 등 16개국 주한 대사들이 참석했습니다.
한반도 클럽은 주한공관 가운데 북한을 겸임하는 공관 20곳과 외교부 간의 협의체입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