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군 유해 발굴∙송환 위해 미군 측과 협의 원해”

앵커 :북한 당국이 북한 내 미군 유해 발굴과 송환을 위해 미군 측과 협의를 원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비영리단체 ‘리처드슨 센터(The Richardson Center)’는 북한 전문가인 빌 리처드슨 전 뉴멕시코 주지사가 이끄는 국제인도주의 단체입니다

이 단체의 미키 버그만(Mickey Bergman) 부회장(vice president)은 30일 미국 민간단체인 전미북한위원회(NCNK)가 개최한 미군 유해 송환관련 화상회의에서 북한이 미군 유해 송환을 위한 협의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버그만 부회장 :북한은 (미군 유해 송환이) 호의적인 일이며 중요한 가치를 가진 사안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미국 측에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합니다. 이는 북한이 (싱가포르) 정상회담 이후 송환한 55개의 유해 상자를 통해 더 확실히 드러났습니다.

버그만 부회장은 북한이 이를 위해 미국과 직접적인 군사적 교류(military to military direct engagement)를 원하고 있다며 이는 미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과 직접 협의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켈리 맥키그(Kelly McKeague)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은 지난 8월 개최한 한국전쟁 중 실종된 미군의 유해 발굴상황에 대한 연례 설명회에서 지난 2019년 3월 북한이 협의를 중단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버그만 부사장은 “미국이 부과한 미국인 북한 여행 금지 조치를 해제하면 이 협의를 재개할 수 있는 소통창구의 일부가 개방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국전 전쟁포로∙실종자 가족협회의 리처드 다운스(Richard Downes) 회장은 미군 유해 송환 문제와 핵 문제는 분리돼야 한다고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국립 문서기록보관소(NARA)에 보관돼 있는 한국전 전쟁포로와 실종자에 관한 문서들이 우선순위와 비용 문제로 기밀 해제가 미뤄지고 있다며 미국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한국전 전쟁포로∙실종자 가족협회는 미국 내 유일한 한국전 전쟁포로와 실종자 가족들의 협의체로 미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과 정보를 공유하고 연례 설명회를 개최해왔습니다.

한편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의 애슐리 라이트 대변인는 3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지난 2018년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으로부터 전달받은 55개의 유해 상자에서 총 79명의 미군의 신원을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