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군이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시험 발사와 달리 실제 위성을 실어 궤도에 올렸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방부는 4일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모의 위성을 실어 발사한 1,2차 시험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민간에서 개발한 실제 위성을 탑재해 우주궤도에 진입시켰습니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의 말입니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운용할 수 있는 궤도에 작은 위성을 올렸다, 인공위성 궤도에, 그것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위성을 올렸다고 보면 되는 것입니다.
이날 고체연료 발사체는 오후 2시 제주도 중문 해안에서 4km 떨어진 해상 바지선에서 발사됐고, 여기에서 분리된 위성체는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랐습니다.
한국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 중인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에는 1~3단까지 고체연료가, 4단엔 액체연료가 사용됩니다.
지난해 3월 1차 발사와 12월 2차 발사 당시엔 2,3,4단 추진체를, 이번에는 1,3,4단 추진체를 시험했고 오는 2025년 최종 시험발사에선 1단부터 4단까지의 추진체를 모두 갖추고 실제 위성을 쏘아 올리는 시험을 할 예정입니다.
이번 3차 시험발사에 쓰인 탑재체는 한국 기업인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1백kg 정도 중량의 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으로, 고도 약 650km의 우주 궤도에 진입했습니다.
SAR을 탑재한 위성은 전자파를 지상 목표물에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자료를 합성해 영상을 만들고, 날씨와 관계없이 지상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한국 국방부 관계자는 “1~4단 고체연료 발사체가 완성되면 최대 무게 7백kg 위성도 우주 궤도에 올릴 수 있다”며, 최종적으론 탑재 중량을 1천5백kg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고체연료 발사체는 구조가 단순하고 저장과 취급이 용이하며, 발사 준비 기간이 7일 이내로 짧은데다 비용도 액체연료 로켓에 비해 적습니다.
다만 탑재 가능한 중량의 한계가 명확한 만큼 비교적 가벼운 저궤도용 관측·정찰 위성에 적합합니다.
한국 국방부는 “이번 발사 성공을 통해 한국 군이 소형 위성을 신속히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독자적 우주 능력 확보에 한 걸음 다가섰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이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해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등 안보위협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발사는 한국형 3축체계 핵심인 우주 기반 감시정찰능력 확보를 가속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주 영역이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영역임을 인식하는 가운데, 우주발사체를 포함한 우주 전력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오는 2025년까지 북한 내 전략 표적을 감시하는 군사정찰위성 5기를 확보할 예정이며, 감시 및 조기경보 임무를 수행하는 초소형 위성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지난 1일엔 미국 캘리포니아주 벤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첫 독자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바 있습니다. 전하규 한국 국방부 대변인의 말입니다.
전하규 한국 국방부 대변인: 군 정찰위성 1호기 발사 성공으로 독자적인 정보감시정찰능력을 확보하였으며, 군 정찰위성은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으로 킬체인 역량 강화의 초석이 될 것입니다.
한국 군은 이번 군사정찰위성이 미국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운용하는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지만,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면 자체 기술로 위성들을 궤도에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홍승욱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