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이 북한과의 신뢰 구축을 위해 한미연합훈련을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북한을 변화시키기 위해선 지속적인 대북 압박이 필요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이 북한과의 신뢰구축 차원에서 한미연합훈련의 규모와 연습시점, 계획 등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브룩스 사령관은 27일 한국의 한미동맹재단이 주최한 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앞으로) 연합훈련의 규모와 연습시점, 연습 시나리오도 조정할 수 있다”며 “과거보다 소규모로 하든지 도발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하든지, 훈련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지도자들이 북한과 관련한 외교 정책을 잘 추진할 수 있도록 군사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겁니다. 브룩스 사령관은 “우리가 때로는 저강도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우리는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미연합훈련을 일시 중단한 것과 관련해서는 “모든 훈련과 연습의 중단은 아니다”라며 “(북한과의) 신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에서 불필요한 자극이나 도발적인 면모를 보이는 연습을 중단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브룩스 사령관은 이어 “북한의 체면을 살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문제 해결의 방법을 찾고 있으며 그들이 변화하면 우리도 변화한다는 믿음을 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크지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으면 북핵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한미연합훈련의 일시 중단도 이같은 차원에서 이뤄진 조치라고 브룩스 사령관은 강조했습니다.
브룩스 사령관은 이어 “수십년 간 북한과 관련된 경험이 축적돼 있어 북한에 대한 의심이 있다는 것은 이해한다”면서 무조건 북한을 의심하는 행태를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 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미래에도 되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지금 역사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 나가야 합니다.
다만 강력한 군사적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국제사회 차원의 대북 압박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브룩스 사령관은 “칼을 칼집에 넣어놓고 칼을 쓰는 법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제사회는 압박을 계속 가함으로써 김정은 위원장이 자신이 얘기한 (비핵화) 방향으로 가게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주한미군 감축과 관련해서는 한미 대통령의 관심사가 아니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브룩스 사령관은 “미국 의회도 이 부분에 대해 검토한 바가 없다”며 “평화가 완전히 정착했다면 모를까 우리는 여전히 해야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주한미군의 주둔은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브룩스 사령관은 “한미동맹은 철통과 같으며 우리는 100%를 함께 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100% 함께 해야 한미가 강하게 앞으로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 입니다.